AI 시스템 데이터 병목 해결
전력 효율 극대화 기술 중점
삼성전자와 네이버가 차세대 AI 반도체 솔루션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AI 전용 반도체 솔루션 개발은 고도의 반도체 설계/제조 기술과 함께 AI 알고리즘 개발/검증, AI 서비스 경험과 기술의 융합이 필수적이다.
이번 협력으로 삼성전자와 네이버는 각 분야 기술의 선두주자로서 이번 협력을 통해 AI 시스템에 최적화된 반도체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초대규모(하이퍼스케일, Hyperscale) AI’의 성능 향상은 처리할 데이터와 연산량의 기하급수적인 증가로 이어지나 기존 컴퓨팅 시스템으로는 성능과 효율 향상에 한계가 있어 새로운 AI 전용 반도체 솔루션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두 회사는 AI 시스템의 데이터 병목을 해결하고 전력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솔루션을 개발해 AI 기술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컴퓨테이셔널 스토리지(Computational Storage) 기술인 스마트 SSD와 고성능 메모리에 연산 기능을 내장한 HBM-PIM(Processing-in-memory), PNM(Processing-near-memory), 대용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차세대 인터페이스 기반의 CXL(Compute Express Link) 등을 업계 최초로 개발하는 등 메모리 분야 초격차 유지를 위해 힘을 쓰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러한 차세대 메모리 솔루션의 융복합을 통해 메모리 병목현상을 극복하고 초대규모 AI 시스템에 최적화된 반도체 솔루션을 제공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HyperCLOVA)’를 운용하면서 학습이 완료된 초대규모 AI 모델에서 불필요한 파라미터를 제거하거나 파라미터 간 가중치를 단순하게 조정하는 경량화 알고리즘을 차세대 반도체 솔루션에 최적화해 초대규모 AI의 성능과 효율을 극대화한다는 구상이다.
삼성전자와 네이버는 이번 협력을 시작으로 컴퓨테이셔널 스토리지, HBM-PIM, CXL 등 고성능 컴퓨팅을 지원하는 차세대 메모리 솔루션의 확산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소비자경제신문 문재호 기자
관련기사
- [월드IT쇼 2022] SK텔레콤·KT ‘AI·메타버스’ 세상 선보인다
- [MWC 2022] 유영상·구현모·황현식 총출동…글로벌 ICT ‘메타버스’ 주목
- 스퀘어·텔레콤·하이닉스 ‘SK ICT 연합’ 출범…1조 투자 글로벌 공략
- [CES 2022] SK텔레콤과 삼성전자가 만났다…5G·ICT 협력방안 논의
- 삼성전자 ‘기술·성과·여성’ 방점… 갤럭시 성공 ‘이영희’ 사장 선임
- [경제@리뷰] ‘반도체 삼국지’로 본 한국 반도체가 나가야 할 길
- [미리보는 CES 2023] 최고혁신상 받은 17개 제품·서비스 면면은?
- [미리보는 CES 2023] “AI 서비스는 기본”…혁신상 휩쓴 국내기업은 어디?
- [경제@리뷰] ‘반도체 삼국지’로 본 중국의 반도체 굴기
- [경제@리뷰] ‘반도체 삼국지’로 본 일본 반도체시장의 몰락
- 삼성전자, 1TB 8세대 V낸드 양산 개시
- [증권Now] “삼성전자, 반도체 가격 낮춰 재고 소진·메모리 투자 지속”
- 삼성전자, 3분기 매출 역대급 달성 불구 영업이익 31.4% 줄어
- [증권Now] 삼성전자 4분기 영업이익 전년대비 ‘절반 수준’ 예상
- [증권Now] 삼성전자, 4분기 메모리 수요 컨센서스 하회…감산 여부 ‘초미의 관심’
-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 베트남 삼성R&D센터 준공식 참석
- 美 주도 반도체 공급망 …“최대 수혜국은 대만”
- [CES 2023] “휘어지고, 밀고, 접고”…삼성·LG 최첨단 혁신기술 ‘대공개’
- 4분기 영업익 삼성전자 69%·LG전자 91% 감소…‘불황 쇼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