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콘텐츠는 넷플릭스, 익숙한 콘텐츠는 디즈니+
자신이 좋아하는 취향·장르 확인 후 OTT 선택시 반영

[소비자경제=김성지 기자] OTT 서비스는 매달 정기적으로 지출되는 구독 서비스로, 우리 지갑 지출의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한 번 선택된 OTT 서비스는 웬만해선 해지하지 않고, 고정 지출이 된다. 넷플릭스·디즈니+·웨이브 등 다양한 OTT 플랫폼은 저마다의 장점이 지니고 있다. 이제는 사용하지 않는 사람을 찾는 것이 빠를 정도로 OTT 서비스는 보편화됐다. 합리적인 선택을 위해 OTT 서비스를 분석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OTT 서비스 요금제 [자료=김성지 기자]

1. 오리지널 시리즈로 세계를 평정한 Netflix

글로벌 1위 OTT 플랫폼으로, 2020년 12월 기준 2억 명의 사용자를 돌파했다. 다양한 장점이 있지만, 지금의 성공을 이끈 것은 넷플릭스에서만 즐길 수 있는 오리지널 콘텐츠다. 완화된 심의규정으로 인해 제작자들은 다양한 스토리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영화나 드라마 뿐 아니라 마이클 조던의 일대기를 다룬 ‘더 라스트 댄스’같은 다큐멘터리, 네이버 웹툰을 영상화한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장르도 사용자의 취향을 저격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종이의 집’ [사진=넷플릭스]

넷플릭스는 자막에서도 다른 서비스와 구별된다. 모든 콘텐츠에서 모든 언어로 자막을 지원하며 설정·변경·이중 자막 등 자유로운 UI 설정이 가능하다. 특히 한국 콘텐츠도 한글 자막을 지원한다. 익숙한 한국어라도 자막을 함께 사용하면,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국내 OTT 플랫폼도 자막 관련 많은 기능을 지원하지만, 대부분 국내 콘텐츠의 경우 한글 자막을 지원하지 않는다. 사용자를 위한 UI는 넷플릭스의 강점 중 하나다.

2 . IP의 천국, Disney+’

넷플릭스의 장점이 새로운 콘텐츠라면, 디즈니+는 우리에게 익숙한 콘텐츠가 장점이다. 스파이더맨∙아이언맨∙로키 등 마블 시리즈를 비롯 토이스토리·라이온 킹·겨울왕국 등 어린이를 위한 디즈니 시리즈, 나홀로 집에나 범죄도시2 등 이미 검증된 지적 재산권(IP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을 바탕으로 콘텐츠 양에서 다른 플랫폼을 압도한다.

심슨이 보여주는 디즈니+(사진=디즈니+)

월 9900원·연 9만 9000원의 구독료도 저렴하다. 게다가 디즈니의 콘텐츠는 종료 기간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다른 OTT의 경우, 오리지널 시리즈를 제외하면 제작사와 계약을 통해 서비스 유무가 결정된다. 계약 기간이 종료되고, 재계약을 하지 못한다면 해당 OTT에서는 시청할 수 없다. 하지만 디즈니+는 자체 콘텐츠를 확고하게 보유하고 있어, 변동 없이 언제라도 원하는 작품을 시청할 수 있다.

3. 퀄리티에 올인한 Apple TV+

항상 남들과 다른 행보를 보이는 애플은 OTT에서도 그 특징을 이어갔다. 콘텐츠 양이 인기와 직결되는 것처럼 대부분의 OTT 서비스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 하지만 애플은 론칭시 “애플 TV+는 ‘애플 오리지널 콘텐츠’만으로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서비스 론칭과 동시에 공개한 <DR. 브레인>도 애플 오리지널 콘텐츠다. 콘텐츠 질에 집중한 애플은 그 기조를 실천하기 위해 스티븐 스필버그·나이트 샤말란·매튜 본 등 유명 감독들과 계약했다.

닥터 브레인 [사진=Apple TV+)]
닥터 브레인 [사진=Apple TV+)]

애플 TV+의 구독료는 6.99달러로 현재 환율로는 약 9400원이다. 6대까지 동시 시청가능하며, 모두 4K HDR화질로 감상할 수 있음을 감안한다면 매우 저렴하다. 누구나 7일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애플 디바이스를 구입하면 3개월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양보다 질' 정책은 콘텐츠 퀄리티에 국한되지 않는다. 저렴한 요금제임에도 4K 화질을 지원하며, Dolby Atmos(3D 음장포멧), Dolby Vision(HDR 포멧), SDH 자막(청각 장애인용 자막) 등을 지원해 작품을 감상 퀄리티도 높였다. 애플 TV+의 콘텐츠는 아이폰∙아이패드∙Apple TV 등 애플 제품을 통해 감상할 경우, 콘텐츠의 화질이나 음성 등을 최대로 즐길 수 있다.

4. 영화 덕후를 위한 Watcha

왓챠는 국내 OTT 서비스의 자존심으로, 영화∙드라마를 큐레이션 해준다. 기본 TV의 대체재 특징이 강한 웨이브와 티빙과 달리 왓챠는 OTT스러운 특징 지녔기에 2016년 론칭 당시부터 넷플릭스와 비교됐다. 영화나 드라마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두 서비스가 강세를 보이는 영역이 다르다. 넷플릭스는 상대적으로 큰 규모의 최근 콘텐츠, 왓챠는 해리포터·독립 영화·홍콩 영화나 2000년대 인기 드라마·예능 등이 과거 콘텐츠가 핵심이다. 과거 콘텐츠가 핵심인 만큼, 그 작품들의 리마스터링 작품을 출시하며 고전 명작 시리즈 마니아에게 호평받고 있다.

좋좋소 [사진=왓챠]
좋좋소 [사진=왓챠]

 

그렇다고 왓챠가 과거 콘텐츠에만 집중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가짜사나이 시즌2’, ‘좋좋소’ 등 인기 유튜브 콘텐츠와도 독점 계약을 맺었으며, 영화계의 위키피디아로 불리는 ‘왓챠피디아’ 스포츠 다큐멘터리 ‘리버풀FC: 엔드 오브 스톰’등 새로운 시도를 통해 참신함을 더하고 있다.

5. 기존 TV와 OTT의 연결고리, Wavve

웨이브는 SKT의 옥수수(Oksusu)와 지상파 3사의 푹(POOQ)이 합쳐져 탄생했다. 기존 TV가 OTT 서비스로 재탄생했다고 볼 수 있다. 무한도전·1박2일·런닝맨 등 인기 지상파 예능을 즐기거나 Quick VOD를 통해 실시간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TV의 신구조화를 이뤄냈다는 평을 받고 있다.

나는 솔로 [사진=웨이브]
나는 솔로 [사진=웨이브]

다른 OTT 서비스가 화질 관련 장점을 어필하는데 반해, 웨이브에는 화질 관련 비판이 많다. 최근 영상은 HD·FHD를 넘어 UHD화질이 보편화됐지만, 웨이브의 주요 콘텐츠는 허준∙대장금∙무한도전처럼 SD화질 콘텐츠다. 하지만 웨이브도 ‘나는 솔로’, ‘꼰대인턴’, ‘검은태양’ 등 웨이브 오리지널 콘텐츠를 통해 새로운 팬층을 유입시키고 있다.

6. tvN과 JTBC를 품은 ‘Tiving’

티빙은 2010년부터 서비스를 시작해 다른 OTT 플랫폼에 비해 긴 역사를 보유했다. 티빙의 가장 큰 장점은 CJ ENM 계열과 JTBC 계열의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외에도 EBS·YTN·연합뉴스 등 다양한 방송도 스트리밍 가능해 총 38개 채널을 제공한다. ‘유미의 세포들’, ‘이태원 클라쓰’, ‘여신강림’ 등 티빙의 인기 콘텐츠에는 공통점이 있다. 웹툰이 원작인 콘텐츠다. 우리나라 웹툰은 세계 콘텐츠 시장에서 블루칩인 만큼 티빙의 콘텐츠는 마르지 않을 예정이다.

이태원 클라쓰 [사진=티빙]
이태원 클라쓰 [사진=티빙]

그렇다면 당신의 선택은?

우리가 가진 시간은 한정적인대 반해, 우리가 즐길 것들은 빠르게 늘어가고 있다. 그중에 하나는 OTT 서비스다. 저마다 다른 특징을 지녀 무엇 하나 포기하기 힘든 장점이 있다. 이번 기회에 각 OTT 서비스를 확인한 후, 나에게 맞는 OTT를 선택해 보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