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식 멤버십 신규 가입 중단…스트림플레이션에 따른 소비자 부담 증가

[소비이슈] 사실상 스트림플레이션, 베이직 요금제 없앤 넷플릭스 [사진=넷플릭스]
[소비이슈] 사실상 스트림플레이션, 베이직 요금제 없앤 넷플릭스 [사진=넷플릭스]

[소비자경제=김성지 기자] OTT 서비스는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콘텐츠로 인해 빠르게 우리 삶으로 스며들었고, 이제는 시청하지 않는 사람을 찾기 힘들 정도다. 점차 OTT 구독료는 고정지출이 됐다. OTT 구독료가 점점 상승하며 어느순간 ‘스트림플레이션(스트리밍+인플레이션)’이라는 신조어가 생겼다.

스트림플레이션 현상이 본격화되면서 OTT 구독에 대한 소비자 부담은 날로 커지고 있다. 최근 넷플릭스는 지난해 가족이 아닌 경우 계정공유를 중단했으며, 베이직 요금제의 신규 가입도 제한했다.

갈수록 서비스는 제한되고 구독료는 인상되며 소비자의 부담은 날로 커지고 있다. ‘오픈서베이 OTT 서비스 트렌드 리포트 2023’ 자료에 따르면 OTT 서비스 이용률은 ▲1위 넷플릭스(49.6%) ▲2위 티빙(18%) ▲3위 웨이브(14%) ▲4위 쿠팡 플레이(11%) 순이다. 넷플릭스가 OTT 업계를 이끌고 있는 만큼 서비스 축소, 가격 인상보다 소비자 선택권을 보장하는 정책에 집중해야 한다.

현재 시행중인 넷플릭스의 3가지 요금제 [사진=넷플릭스]
현재 시행중인 넷플릭스의 3가지 요금제 [사진=넷플릭스]

넷플릭스는 지난해 11월부터 계정 공유 제한 조치를 한국에 적용했다. 현재 한 가구에 거주하지 않는 이용자와 계정을 공유하기 위해서 매달 5000원을 추가로 지불해야 한다.

지난해 6월부터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 등에서 베이직 요금제를 폐지했으며 국내는 지난달 12월부터 월 9500원의 1인 요금제인 베이직 요금제(720p 화질, 동시 시청 최대 1명) 신규 가입을 제한했다.

넷플릭스 요금제 소개 화면에는 ‘베이직 요금제’가 빠지고 광고요금제(월 5500원)가 들어섰지만, 광고를 원치 않는 이용자라면 스탠다드(월 1만 3500원)와 프리미엄(월 1만 7000원) 중에 골라야 한다. 현재 스탠다드 요금제가 가장 가격이 저렴하기에 사실상 가격 인상 조치다.

이에 이동통신사도 베이직 요금제 판매가 제한됐다. KT는 “제휴사의 사정으로 넷플릭스 베이식 상품 판매가 종료된다”며 “KT OTT 구독 및 지니 TV를 통해 넷플릭스 가입을 하시는 경우 판매 종료일 이후 넷플릭스 베이식 상품을 가입할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

가격 인상이나 계정공유 금지 등 서비스 정책을 갑작스레 변경할 경우 이용자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초기 소비자에게 제공되었던 혜택이 점차 사라져 가는 상황에서 소비자는 불만을 느낀다. 그렇다고 서비스 품질이 나이진 것도 아니다. 지난달 12일 오전에는 접속 장애가 발생하면서 약 2시간가량 소비자가 서비스 이용을 하지 못하는 상황도 발생했다.

한 시민단체는 이러한 넷플릭스의 행보에 “광고 시청을 원하지 않는 신규 가입자라면, 선택지는 1만 3500원의 요금제를 이용할 수밖에 없어 이는 실질적으로 신규 가입자에 한해 구독료 4000원을 인상한 것”이라 말했다.

이어 “현재 광고형·스탠다드·프리미엄 외에도 광고형 서비스와 스탠다드 서비스 사이에 합리적인 가격의 요금제를 구성하는 등 소비자 부담을 낮추도록 하는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라고 의견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