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표준된 ESG…지속가능성 위해
객관적인 인증 제도·가격 비교 통해 확인

[김성지 기자의 지그재그] 친환경이라는 포장 속 ESG와 그린워싱 구별하기 [사진=스토리셋]
[김성지 기자의 지그재그] 친환경이라는 포장 속 ESG와 그린워싱 구별하기 [사진=스토리셋]

[소비자경제=김성지 기자] 11월이지만 반팔을 입고 다니는 사람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이상 기후는 먼 미래가 아닌 현실이 됐다. 더 이상 친환경은 미래 세대만을 위한 활동이 아닌 우리 세대의 생존과 직결되는 활동이다. 이러한 흐름으로 인해 기업은 ESG 활동에 집중하고 있다. 

이는 일시적인 트렌드가 아닌 전 세계를 관통하는 가치이자 표준이다. 지난 2000년 영국을 시작으로 스웨덴·독일·프랑스 등 유럽연합은 ESG 개념 도입하며 환경과 인권에 관한 보고를 의무적으로 시행하는 입법을 추진했다.

성장관리 앱 ‘그로우’에서 MZ세대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고 응답자 중 79%는 미닝아웃 중이라 답했다. 소비의 중심으로 떠오른 MZ세대는 미닝아웃(Meaning Out)을 외치고 있다. 이는 신조어로 물건을 구매할 때 자신의 신념이나 가치관을 담아 소비한다는 의미로, MZ세대는 자신의 가치관과 부합하는 제품이라면 다소 비합리적인 가격과 성능을 지녔더라도 구매한다. 그리고 재구매는 물론 스스로 홍보하는 충성도 높은 고객이 된다. 

MZ세대와 가치소비 [사진=그로우]

이러한 연유로 인해 기업들은 ESG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ESG와 친해지지 못한 기업은 도태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 구조(Governance)를 일컫는 ESG 중 환경에만 집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기후 위기와 관련해 소비자에게 경각심을 심어주고, 기업의 친환경 활동으로 이미지를 구축한다. 자칫 방향을 잃어 이는 그린워싱(Green Washing)이 되기도 한다.

합리적 소비와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친환경과 그린워싱을 잘 구별해야 한다. 그린워싱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친환경과 그린워싱에 대한 자신만의 기준을 설정해 놓고 판단해야 한다. 그래서 나는 제품 구매시 친환경 제품을 판단하는 두 가지 기준이 있다.

첫 번째는 신뢰할 수 있는 인증 제도를 통과한 제품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USDA ▲EWG ▲Cradle to Cradle ▲Leaping Bunny 인증을 받은 제품이라면 그린워싱 의심 선상에서 한발자국 뒤에 둬도 된다.

두 번째는 구매시 같은 종류 제품을 비교한다. 친환경 제품이라면 그렇지 않은 제품에 비해서 생산이 까다롭기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다면 친환경 제품은 비친환경 제품에 비해 저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나는 종이빨대에 대해 항상 비관적이다. 빨대가 있으면 음료를 편하게 마실 수 있지만, 없어도 마실 수 있다. 빨대는 필수품이 아닌 사치품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진정으로 ESG를 실천하고 싶다면 종이빨대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빨대를 사용 안 하는 것이 더 도움 되지 않을까 싶다. 지속가능성을 위해 ESG 중 친환경이 강조되는 만큼, 그린워싱에 속지 않길 바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