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날’ 맞아 8년간 매년 진행…글로벌 사업장 동참
임직원 대상으로 진행…추첨 통해 탄소중립포인트 지급
[소비자경제신문=하유진 기자] 환경문제는 하루 아침에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삼성전자는 8년째 자원순환 인식 제고를 위해 환경 개선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
삼성전자가 오는 22일인 지구의 날을 맞아 환경문제 해결에 적극 동참하고자 국내외 임직원들과 소비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글로벌 친환경 활동을 실시한다.
삼성전자는 오는 5월 12일까지 4주간 임직원을 대상으로 폐휴대폰 수거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17일 밝혔다.
삼성전자 외에도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기 ▲삼성SDS ▲삼성물산 ▲삼성중공업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10개 계열사가 참여한다.
특히 올해는 중고 정보통신기술(ICT) 플랫폼 회사 ‘민팃’과의 협업으로 전국 5600개 민팃 ATM 기기를 활용해 임직원들이 제품을 편리하게 반납할 수 있다.
삼성 임직원은 폐휴대폰 수거 캠페인 사이트에 이름과 전화번호를 사전에 입력한 뒤 민팃 ATM 기기를 통해 폐휴대폰을 반납하면 된다. 캠페인에 참여한 임직원들에게는 추첨을 통해 경품 및 환경부가 운영하는 탄소중립포인트가 지급된다.
지난 2015년부터 시작된 이 캠페인은 환경보호와 자원순환 인식 제고를 위해 '지구의 날' 등을 계기로 매년 진행되고 있다. 지난 8년간 이를 통해 수거된 휴대폰은 6만 4330대였으며, 지난해에만 총 1만 2675대 수거됐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사업장에서도 ‘지구의 날’의 의미를 돌아보기 위한 친환경 활동을 이어간다. 미국, 인도 등 총 37개 국가의 글로벌 삼성전자 서비스센터에서도 소비자를 대상으로 폐휴대폰 수거 캠페인을 진행한다.
또한 카자흐스탄에서는 전국 8개 대학교에 폐휴대폰 수거함을 직접 설치한다. ‘알마티 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올바른 폐전자제품 처리와 자원활용 방법에 대한 강연을 열어 자원 회수 및 재사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제고한다.
이 외 칠레, 이집트 등 폐제품 수거 인프라가 미흡한 16개국을 대상으로 폐전자제품 수집부터 재활용까지의 신규 수거체계를 구축 중이다. 중남미, 중동 등 주요 지역에서는 보상판매(Trade-in)를 진행 중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지난해 ‘新환경경영전략’을 발표했다. 2030년까지 삼성전자 제품을 판매하는 180여 개국 전 지역에서 폐전자제품을 수거할 수 있도록 폐제품 수거 체계를 확대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역대 최다 인정” 삼성전자 비스포크 인피니트, ‘iF 디자인 어워드’ 수상
- [증권NOW] 한화투자증권 “삼성전자, ‘의미있는 수준의 감산’은?”
- “똑똑하고 조용하다” 삼성전자, ‘비스포크 그랑데 AI’ 출시
- 삼성전자,‘ 2030 부산엑스포’ 유치 기원 행사 진행
- “더 편리한 일상을 위해” 삼성전자, ‘비스포크 제트 봇 AI’ 스페셜 에디션 출시
- “전시부터 제품 체험까지” 삼성전자, ‘2023 월드IT쇼’ 참가
- “친환경 행보 지속” 삼디, 신사옥 재활용 시멘트 2만여 톤 투입
- [증권NOW] KB증권 “삼성전자, 불안의 벽을 타고 오른다”
- 하이투자증권 “삼바, 장기적 성장 모멘텀은 유효”
- 갤럭시 워치 ‘불규칙 심장 리듬 기능’, 美 FDA 승인…하반기 정식 탑재
- 삼바x고용노동부, ‘안전문화 실천 추진 협약’ 체결
- 삼성D, ‘IMID2023’ 초격차 기술 선보여
- “연간 매출 13조원” 삼성SDS 클라우드 큰 성과 이뤄
- 삼성SDS, 글로벌 의약품 물류 항공운송 인증 획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