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턴 디자인 브랜드 ‘드롭드롭드롭’과 협업 진행
고대비 명암 적용해 시인성 제고·소개…‘저시력자’ 배려

삼성전자는 저시력자를 위해 패턴 디자인 브랜드 ‘드롭드롭드롭’과 협업해 ‘EYE LIKE 제트 봇’ 콘셉트로 기획되어 시각적 접근성을 높인 ‘비스포크 제트 봇 AI’ 스페셜 에디션을 출시했다.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는 저시력자를 위해 패턴 디자인 브랜드 ‘드롭드롭드롭’과 협업해 ‘EYE LIKE 제트 봇’ 콘셉트로 기획되어 시각적 접근성을 높인 ‘비스포크 제트 봇 AI’ 스페셜 에디션을 출시했다. [사진=삼성전자]

[소비자경제신문=김세라 기자] 일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AI 제품이 대중화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가 더 많은 사람들이 친숙하고 편리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저시력자’를 위한 스페셜 에디션을 선보인다.

삼성전자는 19일 패턴 디자인 브랜드 ‘드롭드롭드롭(dropdropdrop)’과 협업한 디자인을 적용한 ‘비스포크 제트 봇 AI’ 스페셜 에디션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비스포크 제트 봇 AI는 뛰어난 자율주행 성능·강력한 흡입력·스마트싱스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 등으로 일상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제품이다. 이번에 선보이는 스페셜 에디션은 시각 장애를 겪고 있는 우리나라 국민의 약 90%가 잔존 시력이 남아 있는 저시력자라는 점에 착안해 시각적 접근성을 높안 ‘EYE LIKE 제트 봇’ 콘셉트로 기획됐다.

우선 저시력자가 보다 쉽게 제품을 인지할 수 있도록 드롭드롭드롭의 가장 인기 있는 패턴에 7:1 이상의 높은 명암 대비를 적용하고, 웹 브라우저·서버 기술의 표준 개발기구 ‘W3C’에서 만든 웹 콘텐츠 접근성 가이드라인의 가장 높은 시인성 등급인 AAA등급의 색상을 사용했다. 감각적인 색상과 패턴은 인테리어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저시력자를 배려한 스페셜 에디션 소개 영상도 제작했다. 콘셉트인 EYE LIKE 제트 봇 로고를 비롯한 자막은 고령자·노안·저시력자 등 시력 약자들도 인지하기 쉽도록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 개발한 ‘온고딕체’를 사용하고 일반 광고영상보다 3배 큰 자막을 적용했다. 또한 자막을 인지하는 시간을 고려해 영상의 속도를 정했으며 선이 또렷한 일러스트와 그래픽을 적용했다.

지난 3월 출시된 2023년형 비스포크 제트 봇 AI는 이중 흡입구 구조의 새로운 브러시를 적용해 머리카락이나 반려동물의 털 제거를 더욱 효율적으로 해주며, 가전·가구·전선·강아지 등에 이어 사람과 고양이까지 인식해 더욱 정확하고 스마트한 ‘AI 자율주행’ 기능을 갖췄다.

스페셜 에디션은 비스포크 제트 봇 AI 본품과 개성 있는 디자인이 적용된 상단 커버로 구성된 총 3종으로 19일부터 삼성닷컴에서 판매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