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10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 3개월만 상승폭 커져
석유류 가격 인상 둔화…근원물가 전월보다 더 많이 올라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 중후반을 기록하며 석 달 만에 전월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석유류 가격 상승은 한풀 꺾였지만,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이 오르면서 물가가 다시 상승세로 전환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9.21(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5.7% 올랐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 6월 6.0%, 7월 6.3%로 최고치까지 치솟은 뒤 8월 5.7%, 9월 5.6%로 낮아지다가 3개월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품목별 물가 상승률로 보면 지난달 전기·가스·수도가 23.1%, 도시가스 36.2%, 전기료 18.6%, 지역난방비 34.0% 씩 올라 두 자릿수 상승률을 그렸다. 지난달부터 전기·가스 요금이 인상된 영향이다.

한국전력은 지난달 1일부터 국내 전기요금을 1킬로와트시(kWh)당 7.4원 인상했고 산업통상자원부도 민수용(주택용·일반용) 도시가스 요금을 메가줄(MJ) 당 2.7원씩 올렸다.

상품·서비스 등 다른 분야 물가에도 영향을 미치는 산업용 전기나 영업용 가스는 민수용보다 더 큰 폭으로 가격이 올랐다.

이에 따라 전기·가스·수도의 기여도는 전월 대비 0.32%포인트 상승했다.

공업제품의 경우 석유류가 10.7%, 가공식품이 9.5% 오르면서 6.3% 뛰었다. 석유류 상승률은 지난 6월 39.6%을 기록한 뒤 7월 35.1%, 8월 19.7%, 9월 16.6% 순으로 점점 떨어지는 추세를 그렸다. 휘발유의 물가 2.0% 하락은 올해 들어 처음으로 전년 동월 대비 떨어진 수치를 나타냈다. 반면 경유 23.1%는 계속 두 자릿수 상승률을 유지했다.

농축수산물도 5.2% 올라 전월 6.2%보다 상승률이 둔화했다. 이 가운데 채소류는 21.6%, 농산물은 7.3% 올랐다.

농작물 작황이 좋지 않았던 배추와 무는 각각 72.3%, 118.1%로 2배 내외로 올랐고 토마토와 양파도 각각 25.4%, 29.5%씩 올라 높은 물가 상승세를 드러냈다. 한편 수입 쇠고기는 6.3%, 돼지고기는 3.3%, 축산물은 1.8%씩 상승했다.

개인서비스 상승률은 전월 6.4%과 같은 6.4%로 1998년 4월 6.6%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이어갔다.

외식 물가 상승률은 8.9%로 전월 9.0%보다는 낮아졌으나 치킨 10.3%이나 생선회 9.2% 등을 중심으로 고공행진을 유지했다.  보험 서비스료 14.9%, 공동주택 관리비 5.4% 등 외식 외 개인서비스도 4.6% 증가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4.8% 올라 전월 4.5%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다. 또 다른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4.2% 올라 마찬가지로 전월 4.1%보다 오름폭을 키웠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6.5% 올라 전월 상승률6.5%과 동일했다. 10월까지 2021년 누계 대비 물가 상승률은 5.1%에 달했다.

소비자경제신문 문재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