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점심시간 오피스가 도시락·대학가 김밥 소비↑
백종원 비빔밥 한줄 김밥 출시···할인 받으면 1600원대
가성비 찾는 수요와 그 보다 저렴한 메뉴 찾는 소비 복합적
[소비자경제신문=김세라 기자] 외식 물가 상승으로 인한 런치플레이션 현상이 심화되면서 편의점 간편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도시락과 함께 김밥의 매출까지 동반상승하고 있다. 런치플레이션(lunchflation)이란 물가 상승으로 직장인들의 점심값 지출이 늘어난 상황을 뜻한다.
편의점 CU에 따르면 올해 점심 시간대(11~13시) 간편식품의 판매 동향을 분석한 결과 매출 1위는 도시락이, 판매량 1위는 김밥이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CU 간편식품의 점심 시간대 상품별 매출 비중 순위는 도시락(29.6%) > 김밥(23.6%) > 삼각김밥(21.6%) > 샐러드(13.3%) > 샌드위치(9.8%) > 햄버거(2.1%)의 순이다. 판매량에서는 김밥(31.4%) > 삼각김밥(28.1%) > 도시락(23.3%) > 샌드위치(10.3%) > 샐러드 (4.9%) > 햄버거(2.0%) 순으로 김밥이 간편식품 전체 판매량의 약 1/3을 차지할 정도로 가장 높은 판매율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CU는 가성비 점심 메뉴로 도시락을 찾는 수요와 함께 이 보다 더 저렴한 김밥을 찾는 소비가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 입지별 매출을 보면 전체 과반 이상을 차지하는 주택가를 제외하고 도시락은 직장인이 많은 오피스가의 비중이 27.0%로 가장 높았고 김밥은 학생들이 많은 대학가의 비중이 25.9%로 가장 높았다.
특히 중간고사 기간이었던 지난 4월 대학가에서 김밥의 전년 대비 매출 신장률은 도시락 매출 신장률인 47.1% 보다 약 2배 가량 높은 89.8%로 압도적인 수치를 나타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CU는 간편식품의 품질 향상을 위한 차별화 메뉴 개발과 함께 토핑 증량, 제조 공장의 자동화 설비에 대한 선제적 투자로 합리적인 가격을 내는데 주력했다.
그 결과 이달 출시한 ‘백종원 우삼겹 한줄 김밥’은 판매 직후부터 김밥 카테고리 내 매출 1위를 유지하면서 5월 김밥의 전월 대비 매출신장률을 23.8%나 끌어올렸다. 이에 힘입어 CU는 고추장 양념의 비빔밥을 베이스로 기존 일반 김밥 대비 중량을 10% 이상 늘려 푸짐함을 앞세운 ‘백종원 비빔밥 한줄 김밥’도 연이어 출시한다.
상품 출시와 동시에 고객 할인 행사도 진행한다. 구독 쿠폰 20% 할인과 SKT 멤버십 할인을 포함해 카카오페이 머니로 결제할 때 받을 수 있는 500원 추가 할인까지 모두 적용하면 최대 혜택가 1600원대에 구매가 가능하다. 이달 말일까지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에게는 700원 상당의 HEYROO미네랄워터도 증정한다.
향후 CU는 고객의 소비 동향을 면밀히 살펴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고품질의 상품들을 선보일 방침이다. 또한 이달 말일까지 백종원 물가안정 시리즈 도시락 3종(제육한판·바싹불고기·백반한판)을 11~14시에 카카오페이 머니로 결제 시 500원을 할인 받을 수 있는 타임 세일도 진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