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비 300억원 지원…민관 힘 모아 낡은 주택 수리
2024년 취약지역 개조사업 ‘10곳’…예년보다 앞당겨 선정

서울시의 대표적인 주거 안전 취약지역인 구룡마을은 지난 1월 큰 화재가 발생한 바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시의 대표적인 주거 안전 취약지역인 구룡마을은 지난 1월 큰 화재가 발생한 바 있다. [사진=연합뉴스]

[소비자경제신문=권찬욱 기자] 달동네·판자촌·쪽방촌 등 주거환경이 열악하고 안전 및 생활인프라가 전반적으로 취약한 도시 취약지역 주민들의 생활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국토교통부가 행동에 나섰다. 

국토부는 3일 ‘도시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이하 취약지역 개조사업)’ 10곳과 함께 정부·공공기관·민간기업·비영리단체 등이 함께 협력해 열악한 노후주택 정비를 지원하는 ‘민관협력형 노후주택 개선사업’ 3곳을 신규 사업으로 선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취약지역 개조사업은 도시 취약지역 주민들이 최소한의 삶의 질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주거·안전·위생 등 주민생활과 밀접한 기초 생활여건을 개선하는 사업으로, 정부는 지난 2015년부터 현재까지 총 157개소의 대상지를 선정해 지원하고 있다.

해당 사업은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으로, 국토부는 이번 공모에 대해 특별회계 예산편성 일정에 따라 오는 2024년 신규사업 선정을 예년에 비해 앞당겨 진행함으로서 충분한 준비기간을 확보해 사업 내실화를 기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고 설명했다. 

공모를 통해 선정되는 10곳의 대상지에는 약 5년간 국비 약 300억 원 규모가 지원(지방비 30% 매칭)되며, 사업 당 국비 지원액은 약 30억 원(도시 쪽방촌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임대주택 조성 시 최대 70억원) 규모가 될 예정이다.

사업 내용으로는 ▲담장·축대 정비 ▲소방도로 확충 ▲재해대비 배수시설 설치 ▲CCTV 설치 등 안전시설 확보 ▲공동 화장실 개선 ▲상·하수도 정비 등 생활·위생 인프라 확충과 더불어, ▲슬레이트 지붕 교체 ▲노후주택 수리 등 주택 정비 ▲주민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노인돌봄 ▲건강관리 ▲주민교육 프로그램 등 휴먼케어 및 주민 역량강화 사업이 포함된다.

국토부는 오는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전국 지자체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신규 사업 선정 절차 등을 안내하는 지자체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설명회에서는 기존과 달라진 취약지역 개조사업 대상지역 선정기준과 평가기준 등도 소개된다. 

특히 2024년 사업부터는 전례 없는 집중호우, 폭염 등으로 인한 재해 피해가 특히 가중될 수밖에 없는 도시 취약지역의 생활환경을 우선 개선할 수 있도록 대상지역 신청기준 요건 중 하나로 방재지구·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특별재난지역 등을 포함하고 재해발생 지역에는 가점을 부여할 예정이다. 또 균형발전지표에 따른 하위지역에도 가점을 부여해 취약지역 개조사업이 국가 균형발전 차원에 보다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

민관협력형 노후주택 개선사업 체계  [자료=국토교통부]
민관협력형 노후주택 개선사업 체계  [자료=국토교통부]

추가로 함께 공모를 추진하는 ‘민관협력형 노후주택 개선사업’은 취약지역 개조사업 지역 중 추가적인 지원이 필요한 지역을 대상으로 정부와 공공기관, 민간기업, 비영리단체 등이 함께 협력해 집수리를 집중적, 전문적으로 지원하는 취약지역 개조사업의 연계사업이다.

해당 사업이 시행되면 취약지역 개조사업의 주택 정비 예산과 민간기업 후원을 집수리에 함께 활용될 수 있으며, 세대별 집수리 범위 진단·후원기업 자재 사용·전문 시행기관의 공사관리·에너지 효율진단 등이 포함된다.

이번 공모는 2023년 신규사업 선정을 위한 것으로 지난 2020년붜 2022년까지 선정되어 진행 중인 취약지역 개조사업 지역 중 3곳이 선정될 예정이며, 선정된 사업의 노후주택에 대해서 올해 말까지 집수리 공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자료=국토교통부]
[자료=국토교통부]

이 밖에도 국토부는 지난달 24일 체결한 2023년 노후주택 개선사업 민관협력을 위한 공동 추진 업무협약에 따라 주택도시보증공사는 후원금을, KCC는 창호 등 에너지 효율·화재 예방 건축자재를, 코맥스는 스마트홈 보안 자재를, 신한벽지는 벽지를, 경동나비엔은 보일러 등 난방시설을 지원하며, 한국해비타트는 정부예산·공공기관·민간기업 후원 및 자체 네트워크를 활용해 실제 사업시행을 담당하게 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