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촉진·공정한 거래기반·대기업집단 정책·소비자보호
공정거래위원회가 반도체·앱마켓 등 디지털 시장의 독점력 남용 행위에 적극 대응하는 반면, 기업들의 공시제도 등은 합리적으로 조정한다고 밝혔다. 또 하도급법을 개정해 ‘납품단가 연동제’의 법적근거를 마련하고 온라인 시장의 소비자 기만행위를 차단하는데 중점을 둘 계획이다.
지난 26일 공정위는 업무보고에서 ‘원칙이 바로 선 공정한 시장경제’를 조성하기 위해 ▲경쟁촉진 ▲공정한 거래기반 ▲대기업집단 정책 ▲소비자보호 등 4대 핵심과제를 집중적으로 다루겠다고 언급했다.
공정위는 먼저 반도체와 앱마켓 등 디지털 기반 산업과 모빌리티·오픈마켓 등 핵심 플랫폼 분야에서 경쟁자의 사업 활동을 방해하는 행위 등 독점력 남용 행위를 중점 점검한다. 혁신 경쟁을 저해하는 독점력 남용 행위에 엄정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코로나19 이후 국민 생활에서 비중이 커진 콘텐츠나 여가·건강 업종에서의 불공정 거래 행위도 집중 점검한다.
이승기 사태로 불거진 연예인과 연예기획사 간 불공정 거래 관행도 집중 감시 대상이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 거래구조 등에 대한 실태 조사를 통해 OTT 사업자 간 경쟁 제한, 콘텐츠 제작사 등에 대한 ‘갑질’ 여부도 감독한다. 웹소설 2차 저작물 작성권 제공 강요, 음악 저작권 협회 등의 시장 신규 사업자 진입 방해 등도 감시·제재한다.
공정위는 국민 부담으로 직결되는 민생 분야를 비롯해 물가 상승을 초래하는 중간재 분야, 서비스 혁신 플랫폼 분야의 담합 행위도 조사한다. 민생 분야는 에너지, 아파트 유지보수, 가정용품, 통신장비 등이다.
반면 대기업집단 제도는 합리적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외국인을 국내 대기업집단 동일인으로 지정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고 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기준은 조정에 나선다.
공정위는 현행 자산총액 5조원 이상으로 설정된 공시대상기업집단 기준을 국내총생산(GDP)과 연동하거나 기준 금액을 상향 조정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공정위는 이 같은 방안을 내달 발족하는 ‘정책네트워크’를 통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번 업무보고에서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공정하게 거래할 수 있는 방안도 담겼다. 중소기업의 숙원이었던 ‘납품단가 연동제’의 법적근거를 마련하고, 연동제가 시장에 안착될 수 있도록 연동기준과 계약사항 등 세부기준을 시행령 등을 통해 명확히 제시할 계획이다.
소비자 보호 정책은 온라인 시장의 소비자 기만행위를 적극 차단하는 것이 골자다. 현행법의 사각지대를 활용한 대형 플랫폼들의 눈속임 상술(다크패턴)에 대한 실효적 규율방안을 마련하고, 플랫폼에 입점한 중소업체들의 뒷광고·이용후기 조작에 대한 점검 및 자진시정을 강화한다.
중고거래·리셀(resell) 등 개인 간 거래(C2C)에서 발생하는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해선 플랫폼 사업자와 함께 자율적인 분쟁 해결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소비자경제신문 문재호 기자
관련기사
- 금융당국, 내부자거래 알림서비스 개정…“불공정거래 예방”
- 메가커피 가맹점주 “손흥민 광고비 왜 우리가?”…본사, “위법 아니다”
- 소비자단체 “공정위의 테슬라 솜방망이 처벌은 소비자 기만”
- 공정위, 김범수 개인회사 고발… 케이큐브 “과도한 조치…법적 대응” 예고
- 공정위, ‘소비자24’ 서비스 대폭 개선한다
- ‘국내 마스크 1위’ 피앤씨랩스, ‘하도급법 위반’ 공정위 제재받아
- “온라인 상술 이제 그만!” 공정위, 소비자 보호방안 발표
- 공정위, 주말·공휴일 항공권 구매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 ‘주말·공휴일에도 항공권 취소 가능’…불공정약관 시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