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인상에 시중 5대 은행 즉각 대처 나서
우리은행, 13일부터 예·적금 금리 최대 1.0%p 인상
신한은행, 14일부터 예·적금 금리 최대 0.8%p 인상
농협은행, 14일부터 정기예금 0.5%p, 적금 최대 0.7%p 인상
국민은행, 10월 셋째 주 예·적금 금리 인상 예정
하나은행, 금리 인상 시점은 현재 검토 중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0%로 0.5%p 인상함에 따라 10년만에 3% 금리시대가 다시 열리면서 시중 5대 은행이 예·적금 금리 인상에 나섰다.
신한은행은 오는 14일부터 예·적금 상품 39종에 대해 수신상품 기본금리를 최고 0.8%p 인상한다고 13일 밝혔다. 상품별 가입기간에 따라 거치식 예금은 최고 0.8%p, 적립식 예금은 최고 0.7%p 오른다.
정기예금 대표 상품인 ‘S드림 정기예금’ 12개월제 기본금리는 0.6%p 오른다. 신한은행 주요 적금 상품 ‘신한 알·쏠 적금’ 12개월제는 0.5%p 인상돼 최고 연 4.45%가 적용되고 첫 거래 고객을 위한 ‘신한, 안녕 반가워 적금’은 최대 연5.2%, 그룹사 고객 우대 상품인 ‘신한 플러스 포인트 적금’은 최고 연 5.0%로 조정된다.
농협은행은 14일부터 정기예금 0.5%p, 적금은 최대 0.7%p 인상한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13일 소비자경제와의 통화에서 “14일부터 ‘거치식 예금(정기예금)’ 0.5%P, 적금 0.5%~0.7%P 인상분이 상품에 반영될 예정이다”고 밝혔다.
우리은행은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정기예금 19개와 적금 금리 27개를 13일부터 최대 1%p 인상한다고 12일 밝혔다.
예금상품은 비대면 전용 ‘우리 첫거래 우대 정기예금’을 최고 연 3.8%에서 최고 연 4.8%로 1%p 인상하며, 그 외 다른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는 0.3%p ~ 0.5%p 올린다.
적금상품은 ‘우리 페이 적금’, ‘우리 Mgic적금 by 롯데카드’를 1%p 인상하고 그 외 대부분 적금상품 금리 0.3%p ~ 0.8%p를 올린다. 인상된 금리는 13일 이후 가입하는 상품에 대해 적용되며 영업점 창구 뿐만 아니라 인터넷뱅킹, 스마트뱅킹 등 비대면 채널을 통해서도 동일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국민은행은 지난 12일 결정된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폭 및 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다음주 중 수신상품 금리 인상을 단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국민은행 관계자는 소비자경제와의 통화에서 “KB국민은행이 매월 1회 이상 시장금리 변동을 점검하여 기본금리에 반영하고 있으며, 지난 29일 수신상품 기본금리를 인상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하나은행은 현재 금리 조정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을 반영한 금리 조정을 준비 중”이라며 “금리 인상 시점은 현재 검토 중에 있다”고 말했다.
소비자경제신문 문재호 기자
관련기사
- 금융위, 기준금리 2.5%에서 3.0%로 0.5% 인상
- ‘금리 상승 압박’ 전국 아파트값 10년만에 큰폭 하락
- 예·적금 대세되나…한은 빅스텝 후 시중 자금 집중
- [부동산톡톡] 무서운 ‘금리 여파’…매수심리도 위축·집값도 하락
- 미국 연준, 4연속 자이언트스텝…한은 24일 금리인상 기정사실화
- [必환경ESG] KB국민은행 “취약계층 지원으로 지역 구석구석 온기 전해”
- 흥국생명 콜옵션 미행사 번복·신한은행 채권 발행 …“시장 안정화 신호탄?”
- [必환경ESG] 농협은행, “61억걸음 걷고 6만1천 그루 나무 심어요”
- 5대은행, 취약 차주 중도상환수수료 일시적 면제
- 금감원, 국민은행 120억원 배임사고 ‘현장 조사’ 나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