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간 기준금리 차 최대 1%
고물가·고환율·자금유출 위험↑
고물가로 시름을 앓는 미국이 기준금리를 다시금 대폭 인상했다. 또한 이르면 오는 12월 금리인상 속도 둔화 가능성도 드러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2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치고 성명서에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린다고 밝혔다.
따라서 현재 3.00∼3.25%인 미국 기준금리는 3.75∼4.00%로 올랐다. 이는 최근 15년간 최고 수준이다.
연준의 이번 조치로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격차는 기존 0~0.25%에서 0.75∼1.00%포인트로 벌어졌다.
두 나라의 기준금리 차이는 지난 9월 연준의 3번째 자이언트 스텝으로 최대 0.75%포인트로 커졌다가 지난달 12일 한국은행(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과 함께 0.25%포인트까지 줄어들었으나 다시 1.00%포인트로 확대됐다.
1%포인트는 가장 최근 한미 금리 역전기인 2018년 3월 ∼ 2020년 2월 당시 최대 격차와 같은 수준이다. 더 높은 금리, 수익률을 좇아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원/달러 환율 상승) 가능성이 농후 해졌다는 얘기다.
원화 약세는 수입 물품 환산 가격을 높여 인플레를 부추길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한은도 오는 24일 6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은 인상 폭을 저울질하고 있는데 이번 미국의 ‘자이언트 스텝(일시에 0.75%포인트 금리 인상)’이후 원/달러 환율이나 물가가 더 뛰거나 외국인 자금이 유출 조짐을 보이면 한은이 10월에 이어 두 달 연속 빅 스텝(한 번에 0.50% 기준금리 인상)을 밟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릴 전망이다.
한편 지난 6월과 7월, 9월에 이어 반년도 안되는 기간 새 미국 연준의 이례적인 4연속 자이언트스텝 시행은 그만큼 물가 상승 압력이 크다는 현실을 방증 한다.
미국 기준금리 상단이 4.0%까지 오르면서 한국과의 금리 차도 더 커져 외국인 투자 자금 유출 등에 따른 한국 경제 피해도 우려된다.
연준은 지난 3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2020년 3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유지한 제로 금리 시대를 마감했다. 이어 지난 5월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리고 난 뒤 6월과 7월, 9월에 각각 0.75%포인트씩 기준 금리를 인상하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을 낮추기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연준은 성명에서 “인플레이션 위험에 매우 주목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은 더 높은 식품·에너지 가격, 광범위한 가격 압박과 관련한 수급 불균형을 반영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기준금리 인상 이유를 밝혔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금리인상 발표 직후 회견에서 금리인상 중단 가능성에 대해선 “시기상조다”고 선을 그었으나 “금리인상 속도를 줄일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 이르면 다음 FOMC 회의 혹은 그 다음 회의가 될 수도 있다"고 말해 12월 0.75%가 아닌 0.5% 기준금리인상 가능성도 내비쳤다.
과도한 통화긴축으로 인한 불필요한 수준의 경기침체 위험을 줄여야 한다는 논리다.
다만 파월 의장은 “최종금리 수준은 지난번 예상보다 높아질 것”이라고 말해 앞서 연준이 제시한 내년 기준금리 4.6%를 넘어 5%에 근접할 것임을 넘어설 것임을 간접적으로 표현했다.
소비자경제신문 문재호 기자
관련기사
- “예·적금 금리 어느 은행이 높을까”…시중은행 일제히 인상 나서
- 금융위, 기준금리 2.5%에서 3.0%로 0.5% 인상
- ‘금리 상승 압박’ 전국 아파트값 10년만에 큰폭 하락
- 예·적금 대세되나…한은 빅스텝 후 시중 자금 집중
- [부동산톡톡] 고금리 여파 2030 아파트 매입 비중 ‘역대 최저’
- [부동산톡톡] ‘빅스텝 후폭풍’ 부동산 얼어붙고 빚투·영끌족은 ‘비명’
- 한국은행, 6연속 기준금리 인상 결정…0.25% 오른 ‘3.25%’
- 파월 의장,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될 수 있으나 방향은 유지”
- 우리나라 외환보유액 4161억달러 기록…세계 ‘9위’ 유지
- 한은, 물가상승률 ‘2%’ 목표…금리 인상 가능성 암시
- 한은-한국거래소, ‘디지털 금융·자산 인프라 구축’ MO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