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의 차량은 대표적인 SDV 중 하나다. 사진은 테슬라의 '오토파일럿' 광고. [사진=연합뉴스] 
배창범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선임간사
배창범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선임간사

자동차 기술 개발이 엔진을 포함한 파워트레인 등 각종 부품에서 최근에는 소프트웨어로 무게 중심이 옮겨지고 있다.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는 소비자들에게 편리함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최근 차량 내부에 다양한 전자 장치가 탑재되며 신차 출시 이후 잦은 소프트웨어 결함에 소비자들의 피해 사례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SDV(Software Defined Vehicle)는 소프트웨어로 정의되는 차량을 의미한다. 자동차의 주행 및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하고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성능 향상을 목표로 한다. SDV는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카메라, 배터리 등 하드웨어와 연동된 차량 기능과 성능까지도 무선 통신을 통해 최적화가 가능하다. 차량이 효율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운전자에게도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테슬라의 경우 LTE 통신망을 통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를 실시해 배터리 성능향상 및 문제 해결을 하는 것은 물론, 자율주행 관련 업데이트도 진행한다. 아울러 완성차 업체들 또한 SDV 투자와 인력 채용 또한 빠르게 실시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의 경우 지난 2021년 11월 SDV 시대 구현을 위한 준비 과정을 언급한 후 오는 2025년까지 모든 차종을 SDV 중심으로 전환하겠다는 것이 목표다.

차량 소프트웨어 발전으로 운전자 및 제조사들의 편의성이 올라갔지만 그만큼 품질 관련 문제점도 많아지고 있다. 오죽하면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신차는 1년 뒤에 구매해야 한다는 우스갯소리까지 들리는 실정이다. 국토교통부 자동차 리콜 사이트 내 기재된 최근 10년간(2013년 1월∼2023년 7월) 리콜 및 무상 수리 공고에 따르면 사후 조치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실시한 차량은 올해 1∼7월 131만 9,712대로 전체 중 52.2%로 나타났다.

소프트웨어 조치 차량은 2019년(192만 799대)부터 100만 대를 넘기기 시작했고 2021년 273만 2507대까지 급증했다. 2013년 5416대와 비교하면 소프트웨어 오작동 가능 차량 수가 약 500배로 뛴 것이다. 최근 전기차 동력상실 문제 이슈와 전자식 브레이크 소프트웨어의 설정 오류에 따른 사고 발생 가능성 이슈 등이 이에 해당된다.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와 달리 문제를 초기에 발견하기 어렵고, 다양한 리스크가 존재한다. 그러나 높은 가격을 지불하고 차량을 구입한 소비자 입장에서는 소프트웨어 결함이 빈번하게 발생하면 완성차 업체에 대한 불신감과 차량 수리에 따른 피로감을 줄 수밖에 없다. 완성차 업체는 지속적인 차량 소프트웨어 개발도 중요하지만 차량 출고 전 엄격한 테스트를 진행하고 문제 발생 시 빠른 사후 대처로 소비자가 안심하고 차량을 운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 급선무다.

배창범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선임간사

관련기사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