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기업과 JV, 베트남 재생에너지사업 가속화

서건기 SK E&S Renewables 부문장(오른쪽에서 4번째), 권순칠 주호치민 대한민국 총영사관 부총영사(왼쪽에서 5번째) 등 참석자들이 SK E&S 베트남 대표사무소 개소식 리본 커팅식을 하고 있다. [사진=SK E&S]
서건기 SK E&S Renewables 부문장(오른쪽에서 4번째), 권순칠 주호치민 대한민국 총영사관 부총영사(왼쪽에서 5번째) 등 참석자들이 SK E&S 베트남 대표사무소 개소식 리본 커팅식을 하고 있다. [사진=SK E&S]

[소비자경제=최주연 기자] SK E&S가 재생에너지 기업 노하우를 바탕으로, 탄소감축에 기여하는 글로벌 메이저 사업자로 발돋움한다.

SK E&S는 지난 21일 베트남 호치민에서 재생에너지 사업 관련 대표사무소 개소식을 열었다고 24일 밝혔다. 대표 사무소는 베트남 내 기존 재생에너지 설비 운영 및 관리와 함께 신규 사업추진을 총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고성장 중인 베트남 재생에너지 시장을 일찍부터 주목한 SK E&S는 지난 2020년부터 남부 닌 투언 지역에 131MW 규모의 태양광 설비를 운영해 왔다. 서부 티엔 장 지역에서도 2021년 50 MW, 2023년 100M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소를 준공해 상업운영 중이다.

또한 올해 초 베트남 내 재생에너지 사업 확대를 위해 현지 기업인 GEC와 합작법인 솔윈드에너지를 설립해 베트남 동남부 떠이닌지역에서 7.4MW 규모의 지붕형 태양광 사업을, 라오스와의 국경 부근에서는 756MW 규모의 육상풍력발전소 구축을 추진 중이다.

이를 바탕으로 태양광 및 풍력 발전소 운영을 통해 감축한 온실가스만큼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예정이며, 베트남에 진출한 국내 및 글로벌 제조기업들을 대상으로 친환경 전력을 공급하는 RE100 솔루션 사업도 준비 중이다.

SK E&S 측은 이러한 해외 재생에너지 사업 확장을 가능케 한 것은 국내 민간 최대 재생에너지 사업자로서 축적해온 차별적 경쟁력과 글로벌 탄소감축을 향한 지속적인 실행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6월 상업가동한 전남 신안군 ‘임자도 태양광발전소’가 대표적으로, 여의도 면적의 3.8배(987만㎡) 넓이 염전을 국내 단일 규모 최대인 100MW급 태양광발전소로 탈바꿈시킨 시설이다. 이곳의 연간 발전량(13만MWh)은 신안군 일반가정 전체 세대 1년 전력 사용량의 약 1.7배 규모에 달하며 이를 통해 연간 약 6만톤의 CO₂ 감축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는 소나무 약 40만 그루를 심는 효과다.

SK E&S는 올해 1월, 2024년 말 준공을 목표로 국내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민간기업주도 해상풍력 프로젝트인 ‘99MW 전남해상풍력사업’ 시설 착공에도 나섰다. 전남 신안군 자은도 인근 해상에 조성되는 해상풍력발전소는 연 발전량이 29만MWh 규모로 연간 8만여 가구에 전력공급이 가능하고 14만톤의 CO₂ 감축 효과가 예상된다. 

이처럼 다양한 재생에너지 사업을 통해 SK E&S는 태양광 2.1GW, 풍력 1.2GW를 포함해 약 3.6GW 규모의 재생에너지 파이프라인을 확보했으며 앞으로 매년 약 1GW씩 파이프라인을 추가해 2030년에는 12GW까지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SK E&S 관계자는 “베트남 재생에너지 사업 진출은 단순 해외 재생에너지 자산확보 의미를 넘어 해외 온실가스 감축의 주요 거점이자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의 교두보가 될 것”이라며 “태양광, 풍력 중심으로 국내외에 대규모 파이프라인을 확보해 글로벌 탄소감축에 기여하는 메이저 재생에너지 사업자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