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과업계 가격인상 매년 꾸준…2년 새 ‘20~30%’ 껑충
원자재 가격 상승폭 1~2%대…“가격인상률 대비 훨씬 낮아”
빙과업체 담합 부당이득 혐의 총 수천 억원 과징금 징계

15일 서교동 소재  한 편의점의 아이스크림 진열식 냉장고. 아이스크림은 최소 1200원부터 판매되고 있다. [사진=양하임 기자]

[소비자경제신문=양하임 기자] “매년 먹는 아이스크림이라 익숙하게 골랐는데, 가격을 보고 내려놨어요”

편의점에 들러 오랜만에 아이스크림을 사려고 가격표를 확인한 직장인 A씨는 당황한 순간의 기억을 토로했다. 그는 “작년 마트에서 800원에 사 먹던 막대 아이스크림이 금세 1500원이 됐다. 2년도 채 안 됐는데, 거의 두 배나 올랐다”고 덧붙였다. 특정 편의점에서는 빙과류에 ‘1+1’, ‘1+2’와 같은 행사를 진행하고 있지만, 한껏 치솟은 빙과제품의 가격에 대한 부담은 여전하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국내 빙과시장 점유율은 롯데웰푸드 44%, 빙그레 42%로 양사 점유율은 85%를 넘는다. [사진=양하임 기자]
지난해 상반기 기준 국내 빙과시장 점유율은 롯데웰푸드 44%, 빙그레 42%로 양사 점유율은 85%를 넘는다. [사진=양하임 기자]

국내 빙과업계를 주도하는 롯데웰푸드와 빙그레가 작년부터 일제히 빙과류 제품의 가격을 올렸다. 롯데웰푸드의 월드콘, 더블비얀코, 찰떡아이스, 설레임, 빵빠레 등 아이스크림 9종 가격은 편의점 기준 2000원에서 2200원으로 10% 인상됐다.

특히, 빙그레 메로나는 작년 3월 편의점 유통 기준 메로나 가격을 1000원에서 1200원으로, 올해 2월 1200원에서 1500원으로 인상했다. 특정 유통업체 기준만으로도 약 33%의 인상률을 보인다. 지난해 일반 소매점에서 800원에 유통됐다는 점까지 감안하면, 시중 어디서나 빙과제품을 접하는 소비자는 거의 절반이 올랐다고 체감할 수밖에 없다.

빙과업계는 원가 상승을 가격 인상의 주된 이유로 꼽았다.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공급망 불안 등의 영향으로 아이스크림의 주재료인 원유, 분유, 설탕 등을 비롯해 운용비와 물류비 등 제반 비용 전반이 올랐다는 것이다.

하지만, 매년 10~20%가량 상승하는 빙과류 가격 상승률에 비해 빙과업체들이 주장하는 원자재 가격 상승 폭은 미미한 수준을 유지해왔다.

한국물가협회 자료에 따르면, 빙과류의 주재료인 우유는 1L 한 팩 가격이 2019년과 2020년에는 평균 2570원으로 유지됐으나 2021년, 2022년에는 각 평균 2616원, 2636원으로  1.7%, 0.76% 올랐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제공한 대리점 대상 지원율 상한 담합 관련 증거 자료 [사진=연합뉴스]

이 밖에도, 롯데와 빙그레 등 국내 빙과업체 4곳은 지난 2016년부터 4년 아이스크림 판매·납품 가격을 담합해 부당이득을 취한 혐의로 과징금을 부여받아 논란이 됐다. 이들은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총 1350여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관련 빙과업체는 과징금 일체를 납부하고는 이를 취소해 달라고 주장하는 행정소송을 진행 중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업체가 막대한 피해 손실을 메우기 위한 수단으로 빙과류 가격을 인상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온다.

빙과업계는 짧지 않은 기간 동안 가격 담합으로 논란을 빚어오며 매해 가격 인상을 고수하고 있다. 저마다의 상황이 있겠지만, 이러한 기업의 행적이 소비자의 합리적인 선택권리와 소비활동을 보장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이익의 기준이 시장의 흐름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 아닌 편향적 구조로부터 발생한다면 열세한 집단에 불이익이 발생하는 것은 자명하다. 기업이 눈앞의 실적을 메우는 것에서 벗어나 소비자와의 상생으로 경제 선순환을 주도하는 모습을 보일지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