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커뮤니티 등 불안감 토로 확산

[소비자경제 = 장은주 기자] 살충제 계란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면서 대표적인 서민음식인 김밥의 안정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계란을 사용한 지단에 앞서 단무지 등 안전성 논란이 일었기 때문이다. 김밥에 이어 떡볶이와 순대 등 길거리 음식으로 확산될 조짐마저 보여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21일 현재 살충제 계란과 관련한 기사 댓글 또는 SNS(사회적관계망), 인터넷 커뮤니티 등을 통해 먹거리 안전에 대한 불안에 대한 글들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특히 김밥을 비롯한 떡볶이와 순대 등 먹거리의 안전성에 대한 의견도 다수 게시되고 있다.
이는 김밥이 대표적인 서민 음식에 속한다는 것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실제 김밥은 계란, 단무지, 당근 등 다양한 재료가 들어가 한 끼 식사로 영양을 채워주고, 한 줄에 3000원 안팎으로 저렴해 사람들이 즐겨 찾는 서민 먹거리 중 하나다.
하지만 유럽발로 시작된 '피프로닐'의 공포가 확산되면서 계란 소비가 크게 위축됐다. 익히거나 삶아도 없어지지 않는다는 막연한 '불안감'이 빠르게 퍼졌다.
이런 가운데 지난 17일 식품의약안전처가 발표한 농약잔류허용기준에서 나머지 김밥 속 재료들의 피프로닐 위험성이 다시 재조명됐다.
◇정부 컨트롤 타워 없어 이원화된 대응 발표 오락가락...업계는 '갈팡질팡'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는 계란에 한해 피프로닐 검출이 '0.00mg'도 허락되지 않는다.
하지만 해당 기준을 살펴보면 쌀 1kg당 0.01mg, 오이의 경우 0.1mg의 잔류량을 허용했다. 쉽게 말해 오이는 우리가 위험하다고 생각했던 계란 속 피프로닐 검출 기준치에 10배에 달하는 것.
'서민 음식'이라는 김밥 속 재료에 대한 불안감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대표적인 김밥 재료인 단무지. 단무지의 노란색을 띄게 만드는 '합성착색제'와 관련된 먹거리 불안감은 해소되지 않은 채 계속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김밥에 무조건 들어가야 한다는 흰쌀의 경우 잔류농약 논란, 지난 2016년 이마트에서 유전자변형(GMO) 쌀이 판매돼 위험성이 재조명됐다.
이처럼 먹거리 불신이 팽배한 가운데 소비자들의 불안은 커지고, 정부가 제대로 된 컨트롤 타워 없이 이원화된 대응을 하며 발표를 오락가락하고 있다.
이처럼 먹거리 불신이 팽배하면서도 정부의 발표가 늑장 대응이거나 "먹어도 괜찮다"는 등의 안일한 발표를 이어가며 소비자들의 불만은 키우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최성락 차장은 21일 "산란계 사용이 금지된 피프로닐에 오염된 계란은 1~2살짜리는 24개, 성인은 평생 매일 2.6개씩 먹어도 건강에 큰 문제가 없다"고 밝혀 소비자들의 공분을 야기했다.
김밥업계 역시 살충제 계란 파동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이다.
김밥전문 프랜차이즈 김가네 관계자는 <소비자경제>와의 통화에서 "정부에서 발급한 식용란 살충제를 부착해 놓았다"며 "현재 안전하게 검증된 계란만 유통하고 있다"며 "무엇보다 손님이 원할 경우 계란을 빼고 나머지 재료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손님들에게 판매를 이어가고 있다"며 자구책을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