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디지털 재창조 프로젝트 추진, 9대 정책 중 하나
총생산액 30조원·인재 정착률 50%…미래 핵심동력

과기부, ‘디지털 인재 정착률 50% 목표’ 방안 수립 [사진=과기부]
과기부, ‘디지털 인재 정착률 50% 목표’ 방안 수립 [사진=과기부]

[소비자경제=김성지 기자] 과기부가 전국 어디에서나 창업에 적극 도전하는 인재와 글로벌 스타트업을 배출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일 제2차 지방시대위원회 의결을 거쳐 디지털 중심 지방발전체계 구축을 위한 ‘지방 디지털 경쟁력 강화방안’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했다.

지방 디지털 경쟁력 강화방안은 디지털이 지방균형발전에 있어서도 새로운 가치이자 해법으로 인식돼 이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수립됐다. 역대 정부 이래 처음으로 수립하는 지방 디지털화 관련 범정부 종합대책으로서 의의를 갖는다.

이번 방안은 이번 정부의 9대 정책 중 하나인 ‘디지털 재창조로 지방 신산업 혁신역량 강화’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으로, 지방시대위원회가 수립한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의 중점과제로 추진된다.

또한, 기존 SOC 등 인프라 확충 중심의 국가균형발전 정책과 차별화해 지방 경제·사회의 디지털화에 초점을 맞춘 대책으로, ▲디지털 기업·인재의 성장과 정착, 기술고도화 등 지방의 경쟁력 있는 ‘디지털 생태계’의 성장지원 ▲지자체 주도로 ‘지방에 최적화된 디지털 프로젝트’ 구상 ▲이를 뒷받침하는 ‘디지털 관점의 지방정책 추진체계 확립’에 주안점을 뒀다.

3대 목표로 2027년까지 ▲지방 디지털 경제 총생산액 30조 원(2020년 10.5조 원) 달성 ▲지방대학 디지털 인재의 지방 정착률을 50% 이상(2021년 40%)으로 상향 ▲농어촌 주민 등 지방 디지털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을 국민 평균의 83%(2022년 78.8%) 수준까지 상향하는 것을 제시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디지털은 청년인재가 선호하는 일자리이며, 지방 주력산업 혁신의 원천인 만큼 지방에 젊음과 활력을 불어넣을 핵심동력이 될 것”이라고 밝히며, “앞으로 지방의 자율성을 최우선에 두고 각 지방만의 특색있는 디지털 성장전략의 지원을 통해 지방에서도 창업에 적극 도전하는 인재와 글로벌 스타트업을 배출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생태계가 조성되도록 하겠다”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