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 중소기업 인력난 실태조사’ 실시…효과적인 방안 필요 호소 나와
근본적 해결책으로 ‘임금·복지수준 향상을 위한 정부 지원 확대’ 응답 많아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지난 5월 제조 중소기업 258개社를 대상으로 ‘제조 중소기업 인력난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사진=IBK기업은행 제공]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지난 5월 제조 중소기업 258개社를 대상으로 ‘제조 중소기업 인력난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사진=IBK기업은행 제공]

[소비자경제=김연주 기자]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지난 5월 제조 중소기업 258개 사를 대상으로 ‘제조 중소기업 인력난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IBK기업은행은 12일 이같은 사실을 알리고, 실태조사에 따르면 제조 중소기업의 65%가 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청년층 경제활동인구 감소가 빠른 비수도권의 경우는 70%가 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이에 중소기업의 45%가 ‘외국인 인력 활용 또는 설비 자동화’ 등으로 인력난에 대응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도 18%로 인력난 해소를 위해 보다 효과적인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인력난 해소를 위한 근본적 해결책으로는 ‘임금·복지수준 향상을 위한 정부 지원 확대’란 응답이 50%로 가장 많았고, ‘중소기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정책(21%)’이 뒤를 이었다.

지역별 특성으로는 ‘비수도권 제조 중소기업’이 주로 외국인 인력을 활용해 인력난에 대응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결과 비수도권에서는 50% 이상이 외국인 인력을 활용했는데, 수도권에서는 34%에 그쳤다.

또 비수도권에서 제조 중소기업의 인력난이 해소되지 않는 근본원인으로 ‘실효성 없는 정부 정책’이라 응답한 비율이 20% 이상 달했다. 지방 소도시에서 정부 정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더 높았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실효성 있는 정책이 필요하고, 특히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이 확대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