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관리 서비스 제공 목표 추진 중
당뇨병 및 만성질환 고객 맞춤형 진료 추천
[소비자경제=이창근 기자] LG유플러스와 만성질환 관리 플랫폼 아이쿱의 업무협약(MOU)을 체결이 화제다. LG유플러스 측은 6일 아이쿱과 일상 속 건강관리 서비스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밝혔다.
조재형 아이쿱 대표는 “이번 협약 체결로 새로운 유형의 교육 콘텐츠 제작과 만성질환자 맞춤형 진료 추천 알고리즘을 고도화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이쿱은 당뇨병 증상과 고혈압 등을 앓고 있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맞춤형 관리 솔루션인 닥터 바이스를 개발 중인 회사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라이프로그 및 통신 데이터 분석 기반의 이용자 유형화 알고리즘 개발▲이용자 유형별 라이프스타일 개선 콘텐츠 개발 ▲당뇨병 예방 캠페인등을 공동 진행해 일상속 건강관리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기존 건강관리 플랫폼들은 이용자가 입력한 나이, 성별 등 제한적인 정보를 토대로 서비스를
제공해 이용자의 건강 상태에 맞는 질환 관리 방법이나 이용자에게 필요한 운동 등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
실제로 일각에서는 당뇨병 환자들에겐 기존의 건강 및 증상관리 플랫폼이 한계가 있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LG유플러스와 아이쿱은 이러한 한계를 깨기 위해 라이프로그와 통신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이용자를 유형화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성별·나이·혈당·식사·운동·체중·증상 등의 라이프스타일을 통합 분석해 이용자 유형별로 헬스케어 고객 경험을 혁신한다는 계획이다.
추가로 이용자가 기록한 다양한 일상 기록을 진료에 활용해 보다 전문적인 생활 습관 개선을 할 수 있도록 닥터 바이스와 데이터를 연동하고 이용자의 유형에 맞는 맞춤형 콘텐츠도 선보일 예정이다.
권용현 LG유플러스 전무는 “지금까지는 이용자의 라이프로그와 통신 데이터가 건강관리에 활용된 전례가 없어 데이터 기반의 생활습관 개선 효과가 제한적이었다"며 “아이쿱과의 협력을 통해 혁신적인 일상 속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대국민 라이프스타일 개선을 위한 계획을 설명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약사 맞춤형 플랫폼 기업 ‘참 약사’와 업무 협약을 체결해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보건복지부의 비대면 케어 국책과제 및 과기부의 라이프로그 기반 빅데이터 국책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스마트 헬스케어연구센터와 협업을 진행하는 등 다방면에서 헬스케어 분야 사업 역량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관련기사
- “홀맨·아지·무너 NFT 사세요” LG U+, 무너 세계관 캐릭터 NFT 판매
- “영어공부도 메타버스로” LG U+, ‘키즈토피아’ 글로벌 시장 진출
- “MZ공략” LG유플러스, 드라마 ‘밤이 되었습니다’ 제작 확정
- LG U+, 플라스틱 가림막 회수·재활용…‘탄소중립경영’ 강화
- 아이쿱자연드림 ‘안녕! 항암쌀 한 스푼 캠페인’ 진행
- LG유플러스, 애견인 위한 ‘포동 스쿨 용인캠퍼스’ 개장
- LG U+, 대규모 아파트·오피스 빌딩에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 LG U+, 오픈랜 시험 검증 장비 ‘이지스오’ 개발
- LG유플러스 ‘BCWW’ 참여, 자체 제작 드라마 공개
- LG유플러스,‘U+tv next’ 출시…“VOD·OTT 장벽 없앤다”
- LG U+ IPTV, ‘ICT 어워드 코리아’ 장관상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