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달 내는 돈 낮추기’ 서비스 이용해도 신용등급 영향 NO
‘원리금 균등 상환’ 고객 중 상환 기간 10년 미만이라면 누구나!
[소비자경제신문=하유진 기자] 고금리·고물가 시대에 많은 이들이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기존 대출이 있는 경우 대출 상환에 급급해 자금 활용이 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토스뱅크가 고객들의 대출 상환 부담을 줄여주는 구원투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토스뱅크는 ‘매달 내는 돈 낮추기’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은 평균 약 34만원의 월 원리금 부담을 낮췄다고 밝혔다. 해당 서비스는 원금과 이자를 매달 함께 갚아 나가는 ‘원리금 균등 상환’ 고객 중, 상환 기간이 10년 미만인 고객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서비스를 통한 원리금 연장 가능 기간은 최초 대출 기간을 포함해 최장 10년이다. 고객들은 기간 연장만으로 매월 원리금 부담을 낮출 수 있다.
지난 해 10월 국내 최초로 선보인 ‘매달 내는 돈 낮추기(이하 매돈낮)’ 서비스는 현재까지 이용 누적 계좌수 1만 6600좌를 넘어섰다.
이 중 절반에 가까운 약 43%는 만기 연장을 최장 만기인 10년으로 선택했다. 신청 고객 중 66%는 중저신용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고객 A씨는 지난 해 5월 5년 만기로 4800만원을 대출받아 매월 원리금 101만원을 부담해왔다. 그런데 지난 1월 ‘매달 내는 돈 낮추기’ 서비스를 이용해 만기를 10년으로 늘렸고, 월 상환액을 43만원대로 대폭 줄일 수 있었다.
고객들은 매돈낮 서비스를 통해 상환 기간을 연장하더라도 신용점수 하락 등 불이익을 받지 않는다. 가산금리에도 변동이 없다.
단, 고객이 신청한 기간에 따라 발생하는 리스크 비용인 ‘유동성 프리미엄’만 소폭(최소 0.07%p~최대 0.3%p) 반영될 예정이다.
또한 고객들은 토스뱅크의 중도상환수수료 무료 정책도 적용받는다. ‘가계 건전성 회복’ 등 자신의 경제 여건을 고려해 언제든 자신이 원하는 때에 대출을 갚을 수 있다.
한편 토스뱅크는 고객들에게 선제적으로 금리인하 요구권을 제안하고 고객들이 손 쉽게 금리인하 신청을 할 수 있도록 ‘상시 금리인하’ 알림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통상 고객들이 먼저 은행 지점을 방문하거나 앱에서 경로를 찾아가 신청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앤 것이다.
또한 토스뱅크는 금리인하를 ‘금융소비자로서의 고객의 주권’이라고 판단해 신용도가 개선된 고객에게 이를 먼저 제안하고 있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고객의 건전성이 곧 은행의 건전성이라는 상생의 관점에서 ‘매달 내는 돈 낮추기’ 서비스를 기획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금리 상승과 경기 침체 등 어려운 시기를 고객과 함께 헤쳐나갈 수 있도록 실질적인 금융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발굴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고객을 더 넓게, 더 많이” 토스뱅크 ‘사장님 대출’, 출시 1년 맞아
- [경제@리뷰] ‘유난한 도전’으로 본 기업가치 9조 토스의 8년 여정
- “향후 NFT, P2E 등 디지털자산 담은 뱅킹 시스템 도입될 것”
- 예대금리차 공시 한달…8월 ‘농협은행’ 최대·‘하나은행’ 최소
- 토스뱅크, KB증권 주식 계좌 개설…‘신규 고객’ 혜택
- 토스뱅크, “모임통장 만들고 해외여행 가자!”
- ‘놀라운 성장세’ 토스뱅크, 2천억 규모 유상증자 추진
- “성장·편익 높인다” 토스, ‘대환대출 플랫폼 전략 세미나’ 개최
- “연 3.5% 고금리” 토스뱅크, ‘먼저 이자 받는 예금’ 진행
- 토스뱅크 ‘안심보상제’, 금융사기 피해 12억원 구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