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ARS 전화 통해 진위 여부 확인
안심할 수 있는 ‘금융서비스’ 이용 환경 조성
[소비자경제신문=김세라 기자] 최근 은행 등 금융사를 사칭해 정책자금대출이나 낮은 금리의 대출이 가능하다는 문자를 보내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스미싱 금융사기 범죄가 급증하고 있다. 스미싱(Smishing)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문자 메시지를 이용해 개인정보를 탈취하고 금융 피해를 주는 사기 수법을 일컫는다.
이에 카카오뱅크는 카카오뱅크를 사칭한 문자에 대해 고객이 손쉽게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예방책을 마련했다.
카카오뱅크는 카카오뱅크를 사칭한 대출 광고 문자의 발신 번호가 카카오뱅크에서 사용 중인 번호가 맞는지 확인할 수 있는 ‘전화번호 진위확인 ARS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고 16일 밝혔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고객들에게 “카카오뱅크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전화나 문자메시지로 대출을 권유하지 않는다”며 이 점을 꼭 기억해달라고 당부했다.
카카오뱅크의 안내 문자는 대부분 고객센터 대표번호로 발신된다. ‘02’·‘031’과 같은 지역 번호나 ‘010’으로 시작하는 휴대폰 번호 등으로 문자가 발신됐다면 피싱을 의심해야 한다.
카카오뱅크 사칭이 의심되는 대출 권유 문자를 받았을 경우 ARS 전화로 전화해 문자 발신 번호를 입력하면 카카오뱅크에서 이용 중인 번호가 맞는지 확인할 수 있다.
고객이 입력한 번호가 카카오뱅크에서 사용 중인 번호가 아닌 사칭번호로 확인되면 사칭번호 제보 방법을 문자로 안내받을 수 있다. 사칭문자는 카카오뱅크·금융감독원(금융감독원 불법대부광고 전화번호 신고)·인터넷진흥원(스팸신고 서비스)을 통해 신고 가능하다.
또한 카카오뱅크는 고객 휴대폰에 설치된 악성앱이나 원격제어 앱을 탐지하는 솔루션을 적용하고 있다. 모바일앱 실행 시 자동으로 탐지결과를 제공해 고객이 직접 악성앱과 원격제어앱을 삭제하도록 유도한다. 악성앱 삭제에 어려움을 겪는 고객에게는 카카오뱅크에서 직접 설치 사실을 알리고 삭제를 안내한다.
이밖에 카카오뱅크는 피싱 피해 예방을 위해 수집한 사칭대출 광고문자의 발신번호를 관계기관에 신고하고, 오토콜백 시스템을 통해 해당 번호 이용이 불가능하도록 조치했다. 특히 지난해 하반기부터는 통신사와 협업해 카카오뱅크 사칭 전화번호에 대해 고객의 접근을 차단하고 있다.
관련기사
- “역대 최대 실적”…카카오뱅크, 2022년 영업이익 “3532억원 달성”
- “반갑다 춘식아” 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 우리카드’ 출시
- “등기우편 모바일로 간편하게”…카뱅 ‘내 문서함’ 서비스 출시
- 카카오뱅크, 개인사업자 ‘세금 조회·신고’ 더욱 편리해진다
- 중저신용 고객 ‘환호’ 카카오뱅크, “금융 거래 적다고 걱정마세요”
- ‘3·1런’ 메인 후원사 카카오뱅크, ‘독립유공자 후손’ 후원
- ‘금리 최대 0.4%p 인하’ 카카오뱅크, 개인사업자대출 특판 진행
- “신용점수도 한눈에” 카카오뱅크, NICE 신규 추가
- “인뱅 최초” 케이뱅크, ‘고정금리형 전세대출 상품’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