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은 한국채택국제회계 (K-IFRS) 연결기준으로 2022년2분기 매출 1조 1925억원, 영업이익 556억원을 기록했다고 4일 공시했다. 콘텐츠 경쟁력 확대와 글로벌 사업 경쟁력 강화로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31.3% 증가했으나, 수익성 부진에 따라 영업이익은 35.2% 감소했다.
미디어 부문 매출은 전년보다 58.4% 증가한 7228억원, 영업이익은 56% 감소한 254억원을 기록했다. <우리들의 블루스>, <환혼>, <유미의 세포들 시즌2> 등 프리미엄 IP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채널 성장으로 TV광고가 전년동기대비 5.9% 증가하는 등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했다. 같은 기간 콘텐츠 판매가 전년대비 258.9% 증가하고, 티빙의 매출 역시 전년 동기 대비 122.1% 늘어나는 등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커머스 부문은 매출 3517억원, 영업이익 195억원을 기록했다. 올 상반기 리오프닝 분위기에 따른 오프라인 소비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TV 송출수수료 및 미래 지속 성장을 위한 투자 비용이 증가하며 전년보다 실적이 감소했다.
음악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1.3% 증가한 924억원, 영업이익은 589.4% 늘어난 148억원을 기록했다. 자체 아티스트인 <INI>의 두번째 미니앨범 ‘I’와 <JO1>의 두번째 정규앨범 ‘KIZUNA’가 오리콘 차트 1위를 기록하는 등 일본 음악 레이블 <Lapone>를 중심으로 해외 사업이 본격화됐으며, <KCON: WORLD PREMIERE> 및 <임영웅>, <ATEEZ> 국내 콘서트 등 라이브 매출이 증가하며 수익성 성장을 이끌었다.
영화 부문은 2분기 매출 256억원, 영업손실 41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브로커>와 <헤어질 결심>이 칸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해외 판매가 호조를 보였으나 국내 박스오피스에서 부진하며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CJ ENM 관계자는 “상반기 CJ ENM은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 콘텐츠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했으며 음악 사업 역시 일본 Lapone를 중심으로 아티스트 해외 사업을 강화하는 등 글로벌 사업 경쟁력을 확보했다”며 “하반기에는 독보적인 콘텐츠 경쟁력과 사업 포트폴리오 강화에 기반한 수익성 제고에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소비자경제신문 심영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