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포트폴리오 정비해 손익 안정성 제고
배당과 자기주식 매입·소각 통한 주주환원 정책 시행
[소비자경제=최주연 기자] 김미섭·허선호 미래에셋증권 대표이사가 고객 중심의 경영을 강조하며 임직원들에게 사회와 함께 성장할 것을 당부했다.
김미섭·허선호 대표는 지난 2일 신년사를 통해 “미래에셋증권은 ‘고객’을 위해 존재한다. 그동안 회사가 고객동맹, 고객가치를 최우선시 한다고 이야기해 왔는데, 의사결정 과정에서 회사의 이익을 고객의 이익에 우선시한 것은 없었는지 냉정하게 자성해보자”면서 “모든 일에서 언제나 고객지향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해, 고객이 실제 피부로 느끼고 경험하실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두 대표는 “2022년 이후 전례가 없는 급격한 금리인상을 경험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자본시장에 만연한 리스크 불감증과 지나치게 낙관적인 전망에 근거한 투자와 경영의 의사결정이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뼈저리게 느끼게 됐다”면서 “금융업은 다양한 리스크 요인들을 원칙과 기준에 따라 잘 관리하고 이용하는 것이 핵심 경쟁력이라는 것을 기억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어 두 대표는 새해를 맞아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회사의 전략 방향을 소개했다.
먼저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정비해 손익 안정성을 제고하자”면서 “고객 AUM과 Flow, Fee-base 기반의 WM·Sales & Trading·연금 비즈니스를 보다 강화하고, 투자자산에 대한 익스포져(Exposure)는 적정수준으로 관리해 손익 안정성을 높여 나가자”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성장가능성이 풍부한 글로벌 비즈니스와 투자, 디지털과 연금비즈니스를 오랜 기간 꾸준히 육성해왔다. 앞으로는 규모와 내실에서 모두 초격차를 내기 위해 전략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며 성장 파이프라인을 강화를 주문했다.
아울러 “글로벌 비즈니스는 성장지역과 분야에 자원을 계속 배분해 해외법인의 경쟁력을 높여 나가야 한다”면서 “앞으로 인도 시장을 성장의 중심축으로 삼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이머징 시장과 홍콩, 뉴욕 등 선진국 시장의 지역별 비즈니스를 강화해 나가자”고 강조했다.
또 “모든 사업부문은 AI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비즈니스 전반을 혁신해 나가야 한다”면서 “WM은 AI 자산관리를 통해 고객의 다양한 투자니즈를 적시에 해소하고, 모든 고객이 희망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AI 트레이딩도 중장기적 과제로 삼아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자”고 말했다.
그러면서 “연금자산은 가입고객들의 특성을 고려해 장기적 안정성과 성장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자산배분 전략을 제공하자”며 “로보어드바이저, 랩 등 투자솔루션을 강화해 연금수익률이 제고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주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두 대표는 사회와 함께 성장할 것을 당부했다.
두 대표는 “고객, 주주, 임직원이 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회사가 되어야 한다”면서 “배당과 자기주식 매입·소각을 통한 주주환원 정책을 꾸준히 시행해 나가고, 강화된 내부통제와 혁신을 통해 고객에게 신뢰받는 회사이자, 임직원이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회사로 거듭나자”고 말했다.
이어 “다양한 사회환원활동을 통해 배려가 있는 따뜻한 자본주의를 실천해, 우리 사회를 건강하게 만드는데 일조하자. 미래에셋증권은 새로운 리더십 체제를 갖추고 더 크게 도약할 것”이라며 “위에서부터 더욱 솔선수범하고, 특정 개인에게 의존하는 것이 아닌 회사의 우수한 인재들의 집단지성이 잘 발휘될 수 있는 기업문화와 시스템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두 대표는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는 말처럼, 성장을 위해서는 아프지만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다”며 “임직원 여러분들도 미래에셋증권의 구성원으로서 변화를 두려워하지 말고, 2024년 새해 계획을 잘 세워 각자의 자리에서 성장을 위한 노력을 경주해주시기 바란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