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다이렉티드 URL 트레이스…서버·동일 IP 발송 모두 차단
스팸차단·스미싱예방 등 제공 중 기존 서비스와 통합 예정
[소비자경제=김성지 기자] LG유플러스의 서버 추적 기술이 스마트폰 사용 환경을 안전하게 만들고 있다.
LG유플러스(이하 LGU+)는 12일 ‘리다이렉티드 URL 트레이스(Redirected URL Trace)’ 기술로 5개월간 누적 232만 건의 스팸 메시지를 차단했다고 밝혔다.
LGU+가 지난 4월 도입한 리다이렉티드 URL 트레이스는 스팸 문자 발송 서버를 추적해 원천 차단하는 기술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제공하는 스미싱 URL 목록을 기반으로 서버 IP를 추적해 차단한다. LGU+는 이 기술을 도입한 이후 5개월만에 월평균 46만 건, 누적 232만 건의 불법 스미싱 URL이 포함된 메시지를 차단하는 성과를 거뒀다.
기존에는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단어 또는 발신 번호를 기반으로 스팸 문자 여부를 필터링해 문자 내용이나 발신 번호가 변경되는 경우 차단이 어려웠지만, 이제 ‘스팸 IP’로 분류된 서버에서 발송된 메시지를 원천 차단한다.
향후 LG유플러스는 ▲수신 전화의 스팸 여부를 알려주는 ‘스팸전화알림’ ▲KISA에 신고된 불법 문자 메시지나 고객이 설정한 번호·문구 등을 자동 차단하는 ‘스팸차단’ ▲소액결제에 필요한 인증번호를 직접 설정해 자동 소액결제를 예방하는 ‘스미싱 예방’ 등 현재 제공 중인 불법 스팸 방지 서비스를 통합해 안전한 스마트폰 이용 환경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이진혁 LG유플러스 모바일서비스개발Lab장(상무)는 “호기심에 스팸 문자에 포함된 URL을 눌러 스미싱 피해를 입는 분들이 있다”며, “스팸, 스미싱 등 불법 메시지를 적극 방지해 스마트폰 이용 고객들의 안전을 지속 높여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LGU+ 알뜰폰 자회사, 중고폰 매입 플랫폼 ‘셀로’ 공개
- LG U+, ‘유쓰’ 올해의 브랜드 대상 수상
- 호반건설-LG유플러스,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맞손
- LG U+, ‘런 포 워터’ 팝업스토어 운영
- LGU+, 건설 기계 사고 예방 MOU 체결
- LG유플러스, 금천구 안전 사각지대 ‘U+스마트레이더’ 공급
- LG U+, ‘U+스마트레이더’ 구축 나선다
- LG U+, 청파노인복지관 수해지역 농산물 기부
- LG U+ 스포키, 더 정확해진 ‘실시간 승부예측’ 선봬
- LGU+, 교육 콘텐츠 강화 ‘그로비교육’ 100억원 투자
- 이통3사, ‘브랜드 등록 지원센터’ 통해 피싱·스미싱 예방 나선다
- “재고 부담 감소·저렴한 가격을 함께!” LG U+, AI 데이터 분석 기술 고도화
- LGU+, iPhone 15 사전예약 시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