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혈·둔화·공포·기절 보유…광분 상태 잘 이용해야
테스트 서버서 체험 가능... 9월14일 라이브 서버 출시

라이엇 게임즈에서 165번째 챔피언인 '브라이어'를 공개했다. [사진=라이엇 게임즈]

[소비자경제=김성지 기자] 라이엇 게임즈의 대표작이자 PC MOBA(Multiplayer Online Battle Arena, 다중사용자 온라인 전투 아레나) 장르 게임의 대명사인 ‘리그 오브 레전드(League of Legends, 이하 LoL)’가 신규 챔피언을 공개했다. 

라이엇 게임즈는 31일 새로운 메커니즘인 ‘광분(Self-Taunt)’을 탑재한 165번째 챔피언 ‘브라이어(Briar)’를 공개했다. 억눌린 허기를 지닌 브라이어는 평소 자신의 굶주림을 통제하지만, 적을 만나면 봉인을 해제한다. 출혈·둔화·공포·기절 등 브라이어는 다양한 스킬을 구사한다.

광분 상태가 된 브라이어는 기존보다 능력치가 향상되지만, 이동·타기팅 등 기본적인 조작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이 상태에서 근접한 챔피언을 추격한다.

브라이어의 스킬 아이콘. [사진=라이엇 게임즈]
브라이어의 스킬 아이콘. [사진=라이엇 게임즈]

패시브 스킬 ‘진홍빛 저주’는 기본 체력 재생을 대체해 체력을 회복하는 스킬이다. 해당 스킬은 잃은 체력에 비례해 회복량이 늘어나며, 출혈 상태인 적을 처치하면 남은 출혈 피해만큼 체력을 회복한다. 적을 공격하거나 처치하면 더 많은 체력을 회복하며, 이를 통해 끈질긴 전투가 가능하다. 

첫번째 액티브 스킬 ‘짜릿한 돌격(Q)’은 대상에게 달려들어 피해를 입히며 방어력을 낮추고 기절 상태로 만든다. 

두 번째 액티브 스킬인 ‘핏빛 광분/식욕 폭발(W)’은 두 가지 형태다. 해당 스킬을 시전하면, 브라이어가 돌진해 근접한 적 챔피언을 우선순위로 공격하며 ‘핏빛 광분’ 상태가 된다. ‘핏빛 광분’ 상태가 되면 공격 속도·이동 속도·대미지가 증가하지만 제어할 수 없다.

‘식욕 폭발(W)’을 사용하면 다음 기본 공격이 강화되고 입힌 피해에 비례해 체력을 회복한다. 공격 속도와 이동 속도 등이 강화된 상태로 적 챔피언을 추격하는 ‘핏빛 광분’을 적절하게 활용하면 전투에서 큰 성과를 낼 수 있다. 다만 핏빛 광분 상태에서 제어가 불가능한 만큼 상황에 따라 핏빛 광분 상태가 됐다가 이를 해제 등 적절한 판단이 필요하다.

정신을 집중해 ‘오싹한 비명(E)’을 지르는 ‘브라이어’. [사진=라이엇 게임즈]
정신을 집중해 ‘오싹한 비명(E)’을 지르는 ‘브라이어’. [사진=라이엇 게임즈]

‘오싹한 비명(E)’은 핏빛 광분 상태를 해제한다. 브라이어가 정신을 집중해 적에게 둔화 효과를 주는 비명을 내지른다. 만약 완전히 충전된 상태의 오싹한 비명을 사용했다면 적을 밀어내고 벽에 부딪힐 경우 적은 기절하게 된다.

궁극기 ‘불가항력적 죽음(R)’은 브라이어가 핏덩어리를 걷어차 적중한 첫 번째 적을 먹잇감으로 지정하고, 표식이 붙은 적에게 즉시 날아가 공포에 빠뜨린다. 돌진한 브라이어는 ‘초광분 상태’에 진입해 먹잇감 중 한 명의 적을 처치하기 전까지 방어력·마법 저항력·생명력 흡수 및 이동 속도를 추가로 얻는다.

뛰어난 추격 및 군중 제어 능력을 보여주는 궁극기 ‘불가항력적 죽음’. [사진=라이엇 게임즈]
뛰어난 추격 및 군중 제어 능력을 보여주는 궁극기 ‘불가항력적 죽음’. [사진=라이엇 게임즈]

어거스트 브라우닝(August Browning) 라이엇 게임즈 리드 챔피언 디자이너는 브라이어가 궁극기를 쓰고 날아가면서 쉔의 궁극기 ‘단결된 의지’로 실드를 받는 다면 ‘시너지’를 만들 수 있다. 녹턴의 궁극기 ‘피해망상’으로 상대 시야를 좁힌 뒤 브라이어의 궁극기를 연계하는 그림도 재미있는 경험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 외에도 브라이어는 군중 제어기를 활용해 교전을 유리하게 풀어갈 수 있다. 확정 기절 스킬인 ‘짜릿한 돌격(Q)’, 표식이 붙은 적에게 달려들어 주변 챔피언을 공포에 빠지게 하는 ‘불가항력적 죽음(R)’ 등은 다른 챔피언의 군중 제어기와 연계해 다양한 변수를 만들 수도 있다.

브라이어는 31일부터 LoL 테스트 서버에서 체험할 수 있으며, 라이브 서버에는 9월14일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LoL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