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융합기술원 AI 기술 기반 자체 ML 모형개발
자금세탁 의심 거래 탐지 강화 및 금융 범죄 예방 도움
[소비자경제신문=양하임 기자] 불법 활동의 은폐를 위해 행해지는 자금세탁은 대규모 금융 범죄로 확산할 수 있다. 하나금융그룹은 최근 하나은행과 하나금융티아이의 사내 독립 기업(CIC)인 하나금융융합기술원이 협업해 '자금세탁방지 ML 모형'을 자체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에 하나금융융합기술원은 AI 기술 역량을 기반으로 한 ‘자금세탁방지(AML, Anti-Money Laundering)를 위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모형’을 자체 개발하고 하나은행의 시스템에 완벽 적용함으로써 안전한 금융 거래를 위한 선제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자금세탁방지 ML 모형’은 의심스러운 거래 가능성을 정량화된 등급 수치로만 제공했던 기존 모형을 개선해, 의심 거래로 판단하는 근거를 구체적으로 제공하고 중요도 별로 세밀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의심 거래 탐지 정확도 강화 ▲담당 직원이 의심 거래를 더욱 쉽고 빠르게 판단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 시스템 구축 ▲AI 기술을 활용한 신뢰도 높은 데이터 제공 등이 가능해졌다.
하나금융융합기술원은 향후에도 외부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개발한 ‘자금세탁방지 ML 모형’의 적용 영역 확대 및 고도화를 통해 자금세탁을 포함한 금융 관련 범죄 방지 노력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할 예정이다.
하나금융융합기술원 원장은 “AI 기술을 통해 더욱 신뢰도 높은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해 노력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AI, 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활용해 건전한 금융 환경 조성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하나금융, 인도네시아 글로벌 IT 인재 육성 나선다
- SK텔레콤X하나금융그룹 ‘ESG 기업 성장 지원’ 맞손
- 하나금융, 글로벌 위상 강화 “아시아 최고 금융그룹 도약”
- “글로벌 금융 협력 강화” 하나금융X스마트러스트 맞손
- 하나금융그룹, ‘손님 중심 기업문화’ 전 세계에 전파
- 하나금융그룹 UNEP FI 참석…“생물다양성 분야 투자 확대하겠다”
- 하나금융그룹 광고모델 배우 이도현, ‘대전하나시티즌 홈경기’ 찾는다
- 하나은행, 한국 축구대표팀 친선전 예매 오픈 “오는 6일부터”
- 하나금융그룹, 日 ‘KPGA 하나은행 인비테이셔널’ 개최
- 하나은행, 병·의원 사업자 대상 ‘퇴직연금 프로세스’ 개선
- 하나금융그룹, ‘하나 디지털 파워 온 프로젝트’ 성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