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연구팀 “뇌졸중 환자의 경우 대조군보다 발병 첫해 우울증 발병 위험이 5.02배까지 치솟아”
Q. 뇌졸증이 우울증 발병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나요?
[소비자경제신문=최지우 기자] 젊은 연령층일수록 자만하지 말고 건강관리에 더욱 신경 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국내연구진인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뇌졸중 발병 ‘첫 해’에 우울증 발병 위험이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발병 나이가 젊을 수록, 여성보다는 남성이 더욱 위험한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 최혜림 임상강사,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 교수 연구팀은 국제 학술지 ‘환경연구와 공중보건(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최근호에 뇌졸중으로 인한 우울증 발병 위험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 2010~2018년 사이 뇌졸중을 겪은 환자 20만 7678명의 특성을 분석한 뒤, 나이와 성별 등을 고려해 조건을 맞춰 선정(matched cohort)한 일반 대중 29만 4506명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뇌졸중이 우울증에 미친 영향을 쟀다.
연구에 따르면 뇌졸중 환자의 경우 대조군보다 발병 첫 해 우울증 발병 위험이 5.02배까지 치솟았고, 장애 정도가 심할수록 위험도도 커져 중증 장애가 남은 경우 9.29배까지 올랐다.
시간이 흐를수록 위험 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것을 감안하면, 뇌졸중 치료 시작 단계에서 환자의 정신건강을 보듬어야 할 필요성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제1저자인 최혜림 임상강사는 “뇌졸중 경험 후 1년 내 우울증 발생이 가장 높았다는 점을 보았을 때 뇌졸중 환자들에게 우울증의 위험이 있는지 초기부터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나이와 성별에 따른 차이도 이번 연구로 확인됐다. 뇌졸중 후유 장애가 심할 수록 우울증의 위험도 함께 높아졌는데, 65세 미만인 경우이거나 남자에게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졌다.
중증 장애가 남은 뇌졸중 환자를 분석했을 때 65세 미만인 경우 대조군에 비해 우울증 발병 위험이 5.39배 높았으나, 65세 이상인 경우는 2.62배 증가하는 것에 그쳐 차이를 보였다.
마찬가지 조건에서 남자의 경우 우울증 발병 위험이 대조군 보다 3.78배 높은 반면, 여성은 2.92배로 이 보다 낮았다.
연구팀은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데 대해 환자들이 받는 사회적 압박감과 더불어 뇌졸중으로 인한 생리적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했다. 한창 사회 활동이 활발한 시기에 후유 장애로 인한 좌절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교신 저자인 신동욱 교수는 “뇌졸중을 겪은 대상이 사회적인 측면에서 활동의 범주가 많은 나이와 성별에서 뇌졸중으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압박감 속에 우울증을 더 겪을 수 있다”면서 “이러한 환자들은 치료 과정에서 더욱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뇌의 변화도 우울증 발병 위험을 키웠을 것으로 연구팀은 보고 있다. 뇌졸중으로 인해 우울증과 관련 있는 모노아민 감소와 흥분독성을 일으키는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의 증가 등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 뇌손상으로 감정과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는 뇌의 회색질 감소가 일어나는 것도 뇌졸중 환자에서 우울증 위험이 높은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했다.
관련기사
- [바이오그램] 혹시 나도 안면마비?…어떤 ‘전조증상’이 있을까요?
- [바이오그램] 여성암 ‘자궁내막암’ 가파른 증가세…그 이유는?
- [바이오그램] 추운날씨 갑작스러운 ‘어지럼증·구토’… 혹시 나도?
- [바이오그램] '건강'한 새해 목표 잘 실천하고 있나요?
- [바이오그램] 당신의 대장은 튼튼한가요?
- [바이오그램] 우리 아이 겨울철만 되면 왜 감기를 달고 살까?
- [바이오그램] 새학기 맞는 아이들 “부모 관심으로 정신건강 살펴야”
- [바이오그램] 고혈압·당뇨·골다공증 환자 “임플란트 전 유의하세요”
- [바이오그램] ‘오십견·석회성건염·회전근개파열’ 치료법은?
- [바이오그램] 새 학기, 우리 아이 건강 준비됐나요?
- [바이오그램] 준비 없는 꽃놀이, ‘암’ 발병위험 높인다
- 삼성서울병원, 美 ‘HIMSS 2023’ 세계 최초 3관왕 달성
- [바이오그램] 뇌졸중 발병 위치 따라 ‘심장 기능 손상’
- [바이오그램] ‘임신부 비만’ 임신성 당뇨만큼…꼭(必) 관리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