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만 1천원에 30GB 데이터 제공 ‘5G 슬림플러스’ 23일 출시
온라인 전용 5G 중간요금제 ‘5G 다이렉트 44’도 9월 선보여

5G 중간요금제 [사진=KT]
5G 중간요금제 [사진=KT]

SK텔레콤에 이어 KT도 5G 중간요금제를 선보인다. 이제는 LG유플러스가 출시할 중간요금제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LG유플러스도 30GB대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상품 출시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KT는 11일 5G 중간 요금제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KT가 신고한 5G 중간 요금제 ‘5G 슬림플러스’는 월 6만 1000원에 30GB 데이터가 제공되며, 소진 시 1Mbps 속도로 데이터를 지속 이용할 수 있는 상품이다. 

KT가 선보인 중간요금제는 SK텔레콤이 신설한 24GB 구간 중량 요금제보다 데이터량이 많다. 해당 요금제는 이달 23일 공식 출시된다.

SK텔레콤은 앞서 지난 5일 기본 데이터 24GB를 일반 5만 9000원, 온라인 전용 4만 2000원에 출시했다. KT가 출시한 중간요금제는 이보다 기본 데이터를 6GB 늘리고 가격은 2000원가량 높다.

KT는 매장 방문 없이 KT다이렉트(KT Shop 내 온라인 직영몰)에서 가입이 가능한 5G 중간요금제 ‘5G 다이렉트 44’도 오는 9월에 선보일 계획이다. 5G 다이렉트 44는 월 4만 4000원에 30GB 데이터(소진 시 1Mbps 속도로 이용 가능)가 제공되며, 약정 없이 이용할 수 있다.

기존 KT는 일반 요금제는 △5GB(4만 5000원) △10GB(5만 5000원) △110GB(6만 9000원) △완전무제한(8만원부터) 등이 존재했다. 온라인 전용 요금제 또한 △10GB(3만 7000원) △200GB(5만 5000원) △완전무제한(6만 7000원부터) 등을 제공 중이었다. 일반 요금·온라인전용 요금 영역에서 30GB라는 중간 영역을 만들면서 고객 선택권을 확대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KT는 5G 중간요금제로 고객의 선택권 확대는 물론 통신비 부담을 낮춰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KT Customer사업본부장 구강본 상무는 “고객들의 이용 패턴과 혜택을 고려한 서비스 출시에 주안점을 두었다”라며 “KT는 앞으로도 고객을 최우선으로 두고 서비스를 출시할 것”고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통사가 내놓은 중간요금제 타이틀이 어울리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중간요금제 요금은 6만 2000원으로 5만 5000원과 6만 9000원의 중간값이지만, 데이터 제공량 기준(30GB)으로는 10GB와 110GB의 중간값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로운 요금제 출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치권·시민단체 측에서는 요금인하 압박을 지속하고 있다. 

소비자경제신문 오아름 기자

[자료=KT]
[자료=KT]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