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중동 붐’에 대한 기대감↑

[소비자경제=정명섭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2박 4일 일정으로 이란 방문을 위해 1일 출국한다. 1962년 양국수교 이래 처음이다. 이에 따라 제2의 중동 붐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박 대통령은 현지시간으로 1일 오후 테헤란에 도착 후 3일 오후까지 대략 50시간 정도 체류하며 정상회담 및 비즈니스 포럼 등의 일정에 참석할 예정이다.
박 대통령은 먼저 2일 오전 하산 로하니 대통령과 1시간 15분간 정상회담을 한다. 정상회담에서는 양국관계의 발전과 실질 협력 방안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북핵 문제 등에 대해서도 이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상회담을 마친 뒤에는 협정 서명식과 공동 기자회견, 공식 오찬 일정을 갖게된다. 같은 날 오후 이란의 최고 통치권자인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최고 지도자와의 면담을 추진 중이어서 성사 시 양국 관계 진전에 상당한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3일에는 한·이란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해 양국 기업인 간 네트워크 구축 지원 활동에 나선다.
또한, 이란 방문 기간 한식·한지를 테마로 한 한국문화 체험전, 국악전통 공연 및 양국 전통무술 공연 관람 등 한·이란 문화교류 행사에 참석하는 문화 외교를 전개하는 한편, 현지 동포들과 간담회도 한다.
이번 순방에는 중소·중견기업 146곳과 대기업 38곳, 경제단체·공공기관·병원 52곳 등에서 역대 최대 규모인 236명의 경제사절단이 동행한다.
경제사절단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 권오준 포스코 회장, 구자열 LS그룹 회장 등 대기업 회장단과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장, 조환익 한국전력 사장, 김인호 한국무역협회장 등 공기업과 여러 기관장 등이 동행한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한진해운 사태로 불참한다.
이란은 지난 1월 서방의 경제제재가 해제된 이후 신흥시장으로 떠올라 세계 각국이 이 시장 선점을 위한 쟁탈전을 벌이고 있다.
특히 이란은 사회기반 인프라와 플랜트 분야 개선을 위해 투자를 확대해 나갈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내 건설, 중공업 기업들이 현지 법인을 통해 관련 동향을 살펴보고 있다.
한편 이번 방문은 이란 제재가 해제된 지 107일 만에 이뤄지는 것이다.
정명섭 기자 npce@dailycnc.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