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GDC에 도입, 최대 4개 파렛트 동시 작업으로 효율성 강화
[소비자경제] 최주연 기자 = CJ대한통운이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를 물류 현장에 상용화하며 물류 자동화 수준을 한층 끌어올렸다. 반복 작업이 많은 팔레트 적재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자의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물류 전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CJ대한통운은 인천 글로벌디지털센터(GDC)에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를 도입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17일 밝혔다. 해당 장비는 박스를 자동 분류한 뒤 파렛트에 효율적으로 쌓는 기능을 수행하며, 기존 수작업 중심의 출고 작업을 대체한다.
인천GDC는 아시아태평양 8개국의 소비자 주문을 처리하는 글로벌 허브 물류센터다. 주문에 맞춰 상품을 포장한 뒤 각국으로 향하는 항공편에 실어 보내는 구조다. 이를 위해선 포장이 완료된 박스를 크기와 도착지별로 나눠 파렛트(Pallet)에 적재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 ‘팔레타이징(Palletizing)’ 작업은 반복 동작이 많고 허리를 굽히는 자세가 잦아 신체적 부담이 가중되는 업무로 꼽혀 왔다.
이번에 도입된 로봇은 AI 비전 기술을 활용해 박스의 크기와 목적지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자동으로 여러 파렛트에 분류 적재한다. 특히 고정형이 아닌 이동형 설계로 최대 4개의 파렛트를 동시에 작업할 수 있다. 실제로 인천GDC에서는 한 대의 장비가 서로 다른 두 도시로 출고되는 물량을 동시에 처리하고 있다.
이동형 설계 또한 큰 강점이다. 바닥 고정장치 없이 설비를 자유롭게 재배치할 수 있어, 설치와 이동의 유연성을 크게 개선했다.
CJ대한통운은 이번 장비에 자체 개발한 ‘로터리 구조 자동 버퍼 시스템’을 적용했다. 이 시스템은 컨베이어에서 흘러오는 박스를 AI가 판단해, 적재 순서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임시 보관 후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방식이다. 이로써 제한된 파렛트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고, 적재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됐다.
CJ대한통운은 앞으로도 단순 반복적인 물류 작업을 자동화하는 기술을 적극 개발해 작업자의 업무 환경을 개선함과 동시에 물류 생산성을 더욱 높여 나갈 계획이다.
CJ대한통운 구성용 자동화개발담당은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의 성장과 함께 물류 현장도 점점 더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만큼, 이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 도입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국내외 다양한 물류 현장에서 검증된 자동화 기술과 시스템을 바탕으로, 현재 사우디에서 건설 중인 GDC에도 초격차 기술역량을 적극 이식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npce@dailycnc.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