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트체어 등 의료장비 생산시설 사우디 현지 설립 검토

(왼쪽부터)사우디아라비아 산업광물자원부장관 수석고문 니자르 알하리리, 오스템임플란트 엄태관 대표이사, 사우디아라비아 산업광물자원부 반다르 빈 이브라힘 알코라이예프 장관, 사우디아라비아 국가산업개발센터 의료기기사업부 압둘라만 알 파이피 부사장 [사진=오스템임플란트] 
(왼쪽부터)사우디아라비아 산업광물자원부장관 수석고문 니자르 알하리리, 오스템임플란트 엄태관 대표이사, 사우디아라비아 산업광물자원부 반다르 빈 이브라힘 알코라이예프 장관, 사우디아라비아 국가산업개발센터 의료기기사업부 압둘라만 알 파이피 부사장 [사진=오스템임플란트] 

[소비자경제=최주연 기자] 오스템임플란트는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산업광물자원부 산하 국가산업개발센터와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업무 협약식에는 오스템임플란트 엄태관 대표이사와 사우디아라비아 산업광물자원부(이하 산자부) 반다르 빈 이브라힘 알코라이예프 장관, 산업부 산하 국가산업개발센터 압둘라만 알 파이피 의료기기사업부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기점으로 오스템임플란트는 사우디아라비아 의료산업 발전, 지역민 보건·복지 향상에 일조하는 차원에서 치과 의료장비 생산 시설과 유통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현지 치과의사 대상 임상교육을 제공하는 방향도 검토할 방침이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VISION 2030’ 선포 후, 오는 2030년까지 헬스케어 산업에 한화 85조원을 투자하는 계획을 공표한 바 있다. 오스템임플란트 설명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치과산업 활성화를 위한 비즈니즈 파트너로 오스템임플란트를 제1순위 협상자로 꼽았으며 지난달 사업 구상안을 오스템임플란트에 먼저 제안했다.

오스템임플란트 엄태관 대표이사는 “유니트체어(치과 진료대) 등 의료장비 생산시설을 사우디아라비아에 설립하는 것을 검토하겠다”며 “사우디아리비아에 당사가 직접 판매 영업 조직을 구축하면 현지에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당사는 세계 최고의 임상교육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더 많은 치과의사들이 임플란트 시술을 할 수 있도록 교육에 신경 쓴다면 현지 치과산업을 육성하는데 훨씬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오스템임플란트는 현재 32개국에 36개 해외법인을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 본사와 해외법인의 총 119개 오프라인 강의시설과 온라인 플랫폼에서 치과의사 임상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까지 11만 명 이상의 임상교육 수료생을 배출했으며 이중 85%가 해외 치과의사다.

오스템임플란트의 ‘임플란트’ 생산 기지는 한국과 미국으로, 각각 연간 임플란트 1830만 세트, 228만 세트를 생산하고 있다. 임플란트 식립 툴 등 디지털 제품은 미국과 중국에서 각각 6만 세트, 1만 세트를 생산하고 있다. 오스템임플란트의 의료장비는 한국에서 전량 생산하고 있다. 오스템임플란트의 유니트체어 중 하나인 ‘K3’는 지난 해 글로벌 누적 판매량 4만대를 돌파했다.

한국·미국·중국에서 생산한 임플란트 및 디지털 제품, 의료장비는 각각 전 세계 92개국, 72개국에 수출·판매한다. 지난해 오스템임플란트는 이집트 정부에 자사 유니트체어 ‘K3’를 5년 간 1500대 납품하는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오스템임플란트는 사우디아라비아에 생산시설이 마련될 경우, 중동·아프리카, 넓게는 유럽 시장 수요에 발 빠르게 대응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오스템임플란트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의료장비 생산 기반 구축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임플란트는 사업 고도화에 이르기까지 최소 10년이 걸리는 특수성을 감안해 향후 검토 과제로 남기겠다는 입장이다.

오스템임플란트는 ‘사우디아라비아법인’ 신설도 고려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와 긴밀한 관계 속에서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해야 하는 상황에서, 현지 딜러 네트워크를 총괄하며 간접판매 방식으로 영업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중동법인이 모든 사업을 아우르기엔 과부하가 있을 거란 판단에서다. 아랍에미리트(UAE)에 소재한 오스템임플란트 중동법인은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중동 14개국과 모로코,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아프리카 12개국까지 총 26개국을 담당하고 있다.

오스템임플란트 해외영업구주본부 김기덕 본부장은 “사우디아라비아 치과산업 성장이 예견됨에 따라, 법인 영업사원이 세밀하게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접판매 방식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며 “사우디아라비아법인 신설 전까지는 중동법인의 직판 영업 인력을 신규 채용하고 현지 학술·교육팀도 별도 운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