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동기 대비 매출 연결 3.4% 성장·…균형 잡힌 성장
KT 핵심 사업 중심 성장, “CT+IT 역량 기반 서비스 추진” 

KT가 3분기 매출 실적을 발표했다. [사진=KT]
KT가 3분기 매출 실적을 발표했다. [사진=KT]

[소비자경제=김성지 기자] KT의 이번 3분기 연결 매출이 상장 이후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

KT는 공시 기준 2023년도 3분기 매출이 연결 기준 전년 대비 3.4% 증가한 6조 6974억 원, 별도 기준 1.8% 증가한 4조 6730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임금 및 단체협상’ 3분기 조기 타결과 콘텐츠 소싱 비용 평활화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해 연결 기준 3219억 원, 별도 기준 1935억 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임금 협상과 콘텐츠 소싱 비용이 작년에는 4분기에 반영됐던 것을 감안하면 연결 및 별도 영업이익 모두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

무선 사업은 5G 가입자가 전체 핸드셋 가입자 중 70%인 951만 명을 돌파하고, 로밍사업 매출 확대, 알뜰폰 사업의 견조한 성장세로 전년 동기 대비 1.6% 성장했다. 

유선 사업은 프리미엄 요금제 가입자가 확대되며 전년 동기 대비 1.8% 성장했다. 이 중 인터넷 사업은 기가인터넷 비중이 68%로 확대되며 매출이 전년 대비 3.2% 증가했다.

미디어 사업은 OTT∙VOD 결합요금 등 프리미엄 요금제 가입자가 늘어나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9% 성장했다. 지니 TV로 개편 이후 VOD∙OTT 등 콘텐츠 이용 비율이 기존 대비 두 배 증가하는 등 가정 내 미디어 퍼스트 윈도우로서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기업서비스 사업은 기존에 수주한 Enterprise DX 사업의 매출이 본격화되고 부동산 사업의 호조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7% 성장했다. 기업인터넷/데이터 사업은 일부 저수익 사업의 합리화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소폭 감소했다. 

Enterprise DX 사업은 국방광대역통합망(M-BcN), 국방통합데이터센터 구축 등 정부의 DX 수요가 매출화로 이어지는 등 국내외 DX전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B2B 수주규모는 연간 3조원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금융·부동산·콘텐츠·DX 등 KT의 핵심 포트폴리오도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김영진 KT CFO는 “KT는 경영 안정화 속에서 B2C 및 B2B 사업의 균형 잡힌 성장과 KT그룹의 핵심 사업 포트폴리오에서의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며 “KT가 보유한 CT에 IT역량을 더한 ‘Digital Service First’를 추진해 기업가치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키워드

#KT #지니 TV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