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G 요구사항 및 모바일 프론트홀 결과 발표
향후 오픈랜 기술 연계 성과도 검증할 예정
[소비자경제=이창근 기자] SK텔레콤이 글로벌 차세대 통신 표준 협의체 아이온(IOWN, Innovative Optical & Wireless Network) 글로벌 포럼을 통해 6G 미래 네트워크 진화 방향을 제시했다.
SK텔레콤은 6일 이같은 사실을 알리고, 지난 5일 시작된 아이온 글로벌 포럼 정기 6차 멤버 회의를 통해 ▲6G 핵심 요구사항과 진화 방향을 담은 SKT 6G 백서 ▲6G 유선망을 대비한 저전력/고용량의 차세대 모바일 프론트홀 기술 실증 결과 등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독일 뮌헨에서 진행되며, 오는 7일 마무리될 예정이다.
아이온 글로벌 포럼은 6G 유선망 및 데이터 센터 중심 차세대 통신 기술 연구 개발 및 표준 정립을 목적으로 지난 2020년에 설립됐다. 현재 NTT·소니·인텔·마이크로소프트 등 전 세계 125개의 빅테크 기업과 연구소가 참여 중이다. 아이온 글로벌 포럼은 매년 2회의 전체회의를 열고 있으며, SKT는 국내 통신업계 중 유일한 정식 멤버다.
SKT는 이번 회의를 통해 5G 진화 및 6G 유선망을 대비한 저전력·고용량의 차세대 모바일 프론트홀 기술 개발 및 검증 결과를 공개했다. 해당 결과는 지난 2월 파리에서 열린 아이온 글로벌 포럼 워크샵에서 SKT가 제안했던 내용이며, 노키아·HFR과 함께 검증했다.
SKT는 이번 검증을 통해 기존 5G 프론트홀 기술 대비 소모 전력을 1/3 수준으로 감소시켰다며, 향후 오픈랜 기술과 연계한 차세대 모바일 프론트홀 기술도 검증하겠다고 밝혔다.
류탁기 SKT 인프라 기술담당은 “SKT는 아이온을 포함한 6G 관련 다양한 다양한 글로벌 포럼 및 표준화 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등 6G 초기 기술 진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글로벌 통신사/제조사들과 협업을 확대해 6G로의 미래 네트워크로 진화 기술 개발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