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 분야 세분화…수입거래·해외사업 금리 우대 신설
핵심광물·식량자원 선정…‘신규 우대지원’ 시행할 방침

한국수출입은행(이하 ‘수은’)은 ‘공급망 안정화 금융 프로그램’ 확대·개편을 통해 2025년까지 65조원의 금융을 지원한다. [사진=연합뉴스]
한국수출입은행(이하 ‘수은’)은 ‘공급망 안정화 금융 프로그램’ 확대·개편을 통해 2025년까지 65조원의 금융을 지원한다. [사진=연합뉴스]

[소비자경제=김연주 기자] 한국수출입은행(이하 ‘수은’)은 ‘공급망 안정화 금융 프로그램’ 확대·개편을 통해 2025년까지 65조 원의 금융을 지원한다.

수은은 30일 이같은 사실을 알리고, 앞서 지난해 1월 글로벌 공급망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15조 원을 지원목표로 한 ‘공급망 안정화 금융 프로그램’을 신설했다고 밝혔다.

수은은 지난해 이 프로그램을 통해 △원자재 확보 △물류기반 확충 △중소·중견기업 긴급유동성 공급 등에 총 22조 원을 지원했다.

우선 수은은 이번 확대·개편을 통해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지원영역을 확장하고, 지원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기존 5개 지원 분야에서 12개 분야로 세분화했다.

12개 지원 분야는 △자원개발·도입 자원가공 △재자원화 △식량자원 확보 △물류 인프라 △글로벌 운송(해운·항공) △물류 서비스 △해외 생산기지 구축 △수입대체 △리쇼어링 △프렌즈쇼어링 △긴급 위기대응 지원 등 있다.

수은은 핵심광물과 주요 식량자원을 선정해 금리에 대한 신규 우대지원도 시행할 방침이다.

우리 기업의 필수 원자재 확보를 위한 금융부담을 낮춰주기 위한 조치로, 수은이 자체 선정한 7대 핵심광물(리튬·니켈·코발트·망간·흑연·알루미늄·구리)과 4대 식량자원(밀·대두·옥수수·팜유)에 대한 수입·해외사업 관련 금융지원 시 대출금리와 보증료를 인하할 계획이다.

확대·개편된 공급망 안정화 금융 프로그램은 다음 달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 밖에 지난 2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결된 경제안보를 위한 공급망 안정화 지원 기본법이 통과해 시행될 경우, 해당 법에 근거해 공급망 안정화 기금도 운영할 예정이다.

수은은 공급망 안정화 기금으로 국가 경제안보 차원에서 필수적인 경제안보품목 등의 공급망 안정화 사업을 중점 지원할 계획이다. 수은 자체 정책금융과 공급망 안정화 기금이 대형 사업에 공동 제공되면 공급망 안정화 정책 효과가 배가될 것으로 분석된다.

수은 관계자는 “우리 기업이 공급망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정부의 경제안보 강화 정책에 발맞추는 등 수은이 전방위적인 지원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