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기준 매출 2조 9624억원
택배·CL 등 여러 부문 성장세가 실적 견인
[소비자경제=최주연 기자] CJ대한통운이 건설부문의 일시적인 원가부담 증가로 2분기 영업이익이 소폭 감소했지만 한국사업부문에서 수익성 개선 흐름을 이어가며 견조한 실적을 기록했다.
CJ대한통운은 지난 7일 연결재무제표 기준 올해 2분기 매출액 2조 9624억 원, 영업이익 1124억 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글로벌 물류 업황 약세로 전년 동기 대비 5.6% 줄었고, 영업이익은 건설자재 가격 상승 등 원가부담이 일시적으로 반영돼 3.2% 감소했다. 다만 한국사업부문은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3%, 18.5% 상승했다.
택배·이커머스부문 매출은 9212억 원으로 전년 동기 수준을 유지했지만, 영업이익은 8.5% 증가한 616억 원을 기록했다. 통합 배송솔루션 ‘오네(O-NE)’ 브랜드 기반의 ‘도착보장’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정착시키면서 이커머스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한 결과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CL사업부문은 생산성혁신프로젝트를 통한 중소 고객사 수주 증가와 운영효율화에 힘입어 매출은 전년비 3.5% 증가한 7136억 원을, 영업이익은 37.9% 증가한 376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 7월 시행된 조직개편에 따라 구분할 경우 2분기 한국사업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 영업이익은 18.5% 증가하며 수익구조 안정화 단계에 들어섰다.
그러나 글로벌부문은 포워딩 사업의 시황 악화와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한 물동량 감소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줄었고, 건설부문은 건설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원가부담 일시적 증가로 인해 매출은 크게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감소했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원자재 가격 상승 요인이 반영된 공사가 모두 마무리되면서, 원가부담은 일시적 영향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 “해상 역량 강화” CJ대한통운-日‘ONE’ 업무협약
- “CEIV 파마 획득” CJ대한통운, ‘글로벌 의약품 물류 시장’ 공략
- “혁신성장 가속도” CJ대한통운, AI·빅데이터 최고인재 3명 영입
- “수소경제 선도” CJ대한통운, 기체수소 운송사업 진출
- CJ대한통운, 미래기술챌린지 개최…“입상자 전원 취업 특전”
- “‘디지털 인수증’ 사업화 결정” CJ대한통운, 혁신 아이디어 사내공모
- 물류 기업, 근로자 안전 ‘강화’ 나선다
- “인도 시장 공략” CJ대한통운, ‘타타모터스’와 물류 파트너십
- CJ대한통운, 3분기 영업이익 1248억원 달성
- CJ대한통운, ‘국제물류산업대전’ 미래 물류기술 선뵌다
- CJ대한통운, ‘패션·뷰티 풀필먼트’ 1분기 물량 98% 성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