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체수소 업계 1위 어프로티움, 하이넷과 MOU
하반기부터 기체수소 전용 튜브트레일러 운송사업 개시
[소비자경제신문=최지우 기자] CJ대한통운이 액체수소에 이어 기체수소까지 수소에너지 운송 전반으로 사업을 확대한다. 친환경물류 통해 수소에너지 활성화에 기여하고 ESG 경영을 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CJ대한통운은 수소생산 및 공급 업계 1위기업 어프로티움, 국내 수소충전소 1위 운영업체인 하이넷과 ‘모빌리티 수소사업 협력 업무 협약’을 9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서 △어프로티움은 수소를 원활하게 공급하되 장기적으로 그레이수소를 청정수소로 전환하고 △하이넷은 수소 충전소를 최대한 확보하며 △CJ대한통운은 양사의 수소운영을 위해 운송하기로 했다.
CJ대한통운은 오는 7월부터 울산과 충남 대산에 있는 어프로티움의 수소 생산시설에서 기체수소를 실어 영남권과 중부권 충전소에 운송한다.
이를 위해 CJ대한통운은 기체수소 전용 튜브트레일러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향후 충전소가 늘어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하이넷은 충전소 확대 및 지원역할을 맡고 있다.
현재 기체수소는 주요 에너지기업이 90% 이상을 생산해 자체 소비하고 있다. 나머지 외부에 유통되는 기체수소 대부분은 철강, 반도체, 유리제조 등 공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수소차 충전소를 확대하고, 기체수소 생산과 유통을 증가시켜 모빌리티 수소산업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CJ대한통운은 지난해 12월부터 SK E&S와 공동으로 친환경 수소에너지 운송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연간 3만 톤 규모의 인천소재 SK E&S 액화수소 생산플랜트에서 전국 수소충전소에 액화수소를 운송하는 것으로 현재 액화수소운송 기준을 마련하는 등 상용화 단계에 있다.
일반적으로 수소차는 충전소에서 기체수소로 충전한다. 기체수소는 바로 충전소에 보관하지만 액화수소는 특수 용기에 담아 충전소에 도착하면 기체로 다시 바꾸어 수소차에 충전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다만 기체보다 액체의 효율이 높아 운송에 장점이 있다.
최갑주 CJ대한통운 P&D본부장은 “이번 협약으로 향후 수소충전소를 늘리고 소비자들이 편리하게 수소차를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친환경 물류사업 확대를 통해 미래산업인 수소에너지 활성화에 기여하고, ESG경영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CJ대한통운, 미래기술챌린지 개최…“입상자 전원 취업 특전”
- “‘디지털 인수증’ 사업화 결정” CJ대한통운, 혁신 아이디어 사내공모
- CJ대한통운, 택배기사 김흔수씨 ‘우리동네 히어로’ 감사장 전달
- “중동시장 공략 가속화” CJ대한통운, 사우디 물류기업과 MOU
- CJ대한통운, ‘아이허브’ 중동지역 국제배송 전담 GDC 구축
- “이젠 친환경 택배 받자!” CJ대한통운, 재생용지 사용 박스 도입
- “CEIV 파마 획득” CJ대한통운, ‘글로벌 의약품 물류 시장’ 공략
- “해상 역량 강화” CJ대한통운-日‘ONE’ 업무협약
- “국내사업 성장세” CJ대한통운, 2분기 영업이익 ‘1124억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