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재활용 소재 중심 ‘에코 트랜지션’ 사업전략 본격화

SK케미칼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 사진은 이미지로 표현한 SK케미칼의 에코 트랜지션 전략 [사진=SK케미칼]
SK케미칼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 사진은 이미지로 표현한 SK케미칼의 에코 트랜지션 전략 [사진=SK케미칼]

[소비자경제신문=최주연 기자] SK케미칼이 오는 2025년까지 모든 제품의 LCA 인증을 예고하며 친환경 경영 전환에 속도를 붙였다.

SK케미칼은 지난 한 해 동안의 ESG 활동을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0일 밝혔다.

올해로 13번째인 이번 보고서에는 ‘에코 트렌지션’ 전략을 기반으로 △친환경 비즈니스로의 전환 △기후변화 대응체계 강화 △AI기술력과 R&D 역량 강화 등에 대한 성과와 지속 성장 기업으로의 로드맵이 담겼다.

이번 보고서에서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LCA(Life Cycle Assessment, 전과정 영향평가)이다. 온실가스감축 노력 등을 명확한 수치로 국제인증을 받는 LCA는 친환경 전환의 핵심이다.

SK케미칼은 올해 판매 예상 매출액의 84%에 해당하는 9개군 79개 그레이드의 제품에 대해 LCA인증을 획득했고, 오는 2025년까지 모든 제품의 LCA 인증을 받을 예정이다.

이를 통해 2026년부터 5년간 해중합 기술 기반으로 생산된 리사이클 원료 사용 제품으로 약 1900억 원의 탄소배출권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난해 인권경영을 선언하고 국제가이드라인을 반영한 인권관리 체계를 마련, 올해 본사와 울산공장 등 전 사업장의 기업경영 활동이 인권에 미칠 수 있는 영향평가를 실시하는 등 인권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울산공장의 일부 보일러 연료를 수소로 전환하고 청주공장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도입하는 등 2040년 넷제로 목표에도 다가서고 있다.

안재현 SK케미칼 대표이사는 “에코 트랜지션 전략과 함께 ESG 전략 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해 지속가능한 순환경제체계를 탄탄하게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