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말까지 개화역~신논현역 25개 역사, 총 25.5km 구간 구축
[소비자경제=최주연 기자] LG유플러스는 지난 13일 국제통신공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서울시 지하철 9호선에 LTE-R 구축을 본격화하는 착수보고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서울시메트로9호선 본사에서 열린 착수보고회는 LG유플러스 최택진 기업부문장(부사장), 서울시메트로9호선 배현근 대표이사 등 주요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LTE-R은 4세대 무선통신 기술인 LTE를 철도 환경에 최적화한 철도 통합 무선통신 시스템이다. TRS(주파수공용통신), VHF(초단파)와 같은 기존의 음성 위주 무선통신기술과 달리 음성·영상·데이터 서비스가 모두 가능한 LTE-R은 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 열차 안전 운행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알려져 있다.
서울시메트로9호선은 연간 1억 5000만명이 넘는 수송객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역사 및 차량기지, 관제센터에 LTE-R 기술을 적용키로 했다.
9호선 LTE-R 사업은 구간에 따라 총 3단계로 나뉘며, 2024년 12월까지 구축이 진행될 1단계 사업구간은 개화역부터 신논현역까지 총 25개 역사(총 길이 25.5km)에 해당된다. 이 사업구간에는 9호선의 주요 환승역인 김포공항·당산·여의도·노량진·고속터미널 등이 포함된다.
LG유플러스는 앞서 서울 지하철 LTE-R 구축사업을 통해 직접 검증한 기술 및 장비를 활용하고, 특히 서울 지하철 최초의 사례이자 현 최고 수준인 ‘서울 지하철 LTE-R 제1관제센터’를 약 2년간 운영해온 노하우로 동일 수준의 ‘9호선 LTE-R 관제센터’를 구현한다는 목표다.
LG유플러스 최택진 기업부문장은 “LG유플러스가 서울 지하철 LTE-R 사업의 전 노선을 수행해온 전문성을 인정받아 9호선 1단계 LTE-R 구축의 최종 사업자로 선정됐다”면서 “컨소시엄간 긴밀한 협력으로 9호선만의 관제 및 승차 경험을 혁신하고, 향후 2~3단계 구간의 사업에도 도전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로봇 사업 강화” LG U+, 국내 1위 ‘빅웨이브로봇틱스’ 맞손
- “임직원 함께 뛴다” LG U+ ‘탄소중립 챌린지’ 진행
- LG유플러스-델, 오픈랜 플랫폼 연구·개발 맞손
- 이재민 지원 나선다…LG U+, 튀르키예 대규모 지진 피해 복구 지원
- [소비자경제TV] “기본부터 다시 튼튼하게” LG U+, ‘고객정보 유출’ 공식 사과
- LG유플러스, 갤럭시 S22 ‘공시지원금’ 인상
- LG U+, 정기 주주총회서 총 배당금 주당 650원 결정
- LG유플러스, 장기고객 ‘LG트윈스’ 경기 초청 이벤트 진행
- “쉽고 편리하게” LG유플러스,‘우리가게패키지’ 챗GPT 기능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