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액화수소 공급사·차 제조사와 ‘액화수소 생태계 조성’ MOU 맺어
SK E&S가 내년부터 연 최대 3만톤 규모의 액화수소 생산·유통을 본격화해 ‘대한민국 액화수소 시대’를 열어 나간다는 구상이다.
SK E&S는 9일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효성, 하이창원, 현대자동차와 ‘액화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식은 수소경제 관련 주요 정책을 심의·의결하는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 사전 행사로 진행됐다. 협약 당사자들은 2023년부터 국내에서 액화수소가 원활하게 생산·유통·활용될 수 있도록 수소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수소 버스를 포함한 수소 상용차 보급 확산에 함께 나서기로 했다.
SK E&S를 비롯해 효성, 하이창원 등 액화수소 공급사들은 2023년부터 경쟁력 있는 액화수소를 생산하고 안정적으로 유통시키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정부는 액화수소의 생산·유통·활용 활성화를 위해 기술 개발, 인프라 구축, 활용처 보급 확대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현대자동차는 액화수소의 주요 활용처인 수소 상용차가 차질 없이 생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유지·보수를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현재 SK E&S는 인천 지역에 연간 최대 3만톤 규모의 액화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건설하고 있으며 2023년 하반기부터 본격 생산에 나설 계획이다. 생산한 액화수소는 전국 거점 지역의 충전소를 통해 공급된다. SK E&S는 미국 플러그파워사와 공동 설립한 SK플러그하이버스를 통해 버스 차고지 등 수요처 인근에 액화수소 충전소 약 40여개소를 짓고 있다.
액화수소는 상온에서 기체 형태로 존재하는 수소를 영하 253도 극저온 상태로 냉각해 액체 형태로 만든 수소다. 기체수소 대비 부피가 1/800, 1회 운송량은 약 10배 수준으로 대용량 저장·운송에 유리해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충전 속도가 빨라 같은 시간에 기체수소 대비 약 4배 이상 더 많은 차량에 충전이 가능하다. 고압 압축이 필요한 기체수소와 달리 대기압 수준에서 저장할 수 있어 폭발과 화재 위험이 낮아 높은 안정성도 돋보인다.
지금까지 국내 수소 생태계는 기체수소를 기반으로 성장해 왔지만 2023년부터는 수소사업에 참여를 선언한 기업들의 액화수소 생산과 충전 인프라 구축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수소사업이 더욱 활기를 띨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미국, 일본, 독일 등 해외에서는 250개소 이상의 액화수소 충전소가 운영되는 등 액화수소를 중심으로 수소 생태계 저변도 넓어지고 있다.
SK E&S 관계자는 “SK플러그하이버스가 수소 연료전지를 만드는 회사로 쿠팡과 MOU를 맺고 지게차용 수소연료전지를 공급했었다”며 “내년 문 열 예정인 액화수소 충전소 40여개소는 현대자동차 넥소 뿐만 아니라 수소트럭이나 수소버스 등 출시 예정인 차량을 위해 준비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소비자경제신문 문재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