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에 사업비 상환 계획 공식 요청

둔촌주공 재건축 현장에 붙은 현수막 [사진=현대건설]
둔촌주공 재건축 현장에 붙은 현수막 [사진=현대건설]

서울 둔촌주공 재건축 시공사업단(현대건설·HDC현대산업개발·대우건설·롯데건설)이 조합에 사업비 대위변제후 법적 조치 예고 공문을 보냈다.

시공단은 26일 조합 집행부에 보낸 공문에서 “지난달 대주단으로부터 대출금 기한 연장 불가 입장을 통보받았다”면서 “사업비 대출금 대위변제 후 법적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다”고 통보했다. 그러면서 “만기 도래에 따른 상환 계획과 세부 일정을 내달 5일까지 회신해달라”고 요청했다.

앞서 NH농협은행 등 24개 금융사로 구성된 대주단은 시공단에 내달 23일 만기가 도래하는 7000억원 규모의 사업비 대출 보증 연장이 불가하다고 통보했다. 대출 연장이 되지 않으면 조합원당 1억여원의 금액을 상환해야 한다. 이에 따라 시공사업단은 대출 상환이 불가하면 우선 대위변제 후 조합에 구상권을 청구할 계획이다.

이렇다 보니 조합 안팎에서는 최악의 경우 조합이 파산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김현철 전 조합장은 재임 중이던 지난 14일 사업비 7000억원을 상환할 수 있는 새로운 대주단이 구성됐으며, 사업비 대출 관련 확정 통보도 받았다고 주장했었다. 그러나 김 전 조합장은 대출 예정 금액이 사업비보다 1000억원 많은 8000억원이라고 밝혔을 뿐 자세한 대출 조건을 공개하지 않았다. 이후 조합 안팎에서 협상을 위한 카드일 뿐 확정되지 않은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됐고, 김 전 조합장이 이후 사흘 만에 돌연 사퇴하면서 사업비 신규 대출 방안은 없던 일이 됐다.

조합은 전날 강동구청 주관으로 시공단, 상가 PM(건설사업관리)사, 정상화위를 각각 만나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에 나섰지만 서로의 입장차만 확인한 채 끝났다.

조합 임원진은 “정상화위나 다른 어떤 곳에도 (사업을) 맡길 계획이 없다”면서 “일을 마무리 짓고 조합원들에게 재신임을 묻거나 사퇴를 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라고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에 대해 정상화위 측은 집행부 해임 총회 일정을 곧 발표하겠다는 입장이다.

둔촌주공은 지상 최고 35층 85개동, 총 1만2032가구를 짓는 ‘단군 이래 최대의 재건축 사업’이다. 공사비 증액 문제를 놓고 조합 집행부와 시공단이 갈등을 빚으면서 지난 4월 15일 공사가 중단됐다.

소비자경제신문 오아름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