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포 래미안 원베일리·스타필드 수원 등 수도권 60개 공사현장
철콘협회, 공사비 증액에 협조하지 않는 32개 시공사에 파업
화물연대와 레미콘 이어 철콘까지…건설 현장 분위기 ‘꽁꽁’

건설현장 [사진=연합뉴스]
건설현장 [사진=연합뉴스]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신반포3차 주택재건축사업 3공구)와 광명 푸르지오 포레나 등 현장이 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수도권 철근·콘크리트 업계가 오는 11일부터 수도권 공사 현장 60곳에 대한 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화물연대와 레미콘 파업에 이어 철근·콘크리트 업계까지 파업에 동참하면서 건설 현장 분위기가 꽁꽁 얼어붙었다. 

철근·콘크리트연합회 서울·경기·인천지부는 공사비 증액에 협조하지 않는 32개 시공사의 60개 공사현장을 대상으로 오는 11일부터 파업키로 했다고 8일 밝혔다.

서·경·인 철·콘연합회 소속 회원사는 총 95개 회원사로, 수도권 내 733곳의 공사현장을 맡고 있다. 95개 회원사 중 이번 셧다운에 참여하는 회원사는 23개사로 이들은 한 달 간 진행한 협상에서도 합의를 이루지 못한 32개 시공사의 60개 현장에 대해 파업키로 결정했다.

셧다운 대상으로 포함된 32개 시공사 중에는 ▲대우건설(11곳) ▲GS건설(5곳) ▲삼성물산(2곳) 등 대형 시공사들이 포함돼 있다. 셧다운되는 현장은 ▲삼성물산의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신반포3차 주택재건축정비사업 3공구) ▲대우건설의 광명 푸르지오 포레나 ▲롯데건설의 길음뉴타운 ▲신세계 건설의 스타필드 수원 등 대형 사업장들이 다수 있다.

수도권 철콘협회 관계자는 “급격한 자재비 인상과 코로나 여파로 인력 수급난과 인건비 상승이 발생해 기존 수주한 공사비로는 현장 유지가 어렵다”면서 “원 청사에 지난해 11월부터 공사비 증액 요구를 수차례 요구한 바 있으나 지난 7일까지 공사비 증액에 비협조적인 시공사에 대해 현장 셧다운 결정을 했다”고 설명했다.

수도권은 전국 철·콘연합회 중 가장 많은 회원사가 등록된 곳으로 맡고 있는 공사현장도 많다. 공사가 중단될 경우 철·콘업계가 입는 손실도 클 것으로 예상되면서 전 현장을 세우기보다 공사비 증액에 비협조적인 현장 위주로 셧다운 진행을 고려 중이란 게 협회 설명이다.

아울러 건설업계가 지난달 장기화된 화물연대 파업으로 원자재 수급에 차질이 생겨 공사 중단 위기에 처해졌다. 이달 초에도 레미콘 파업으로 인해 공사현장은 또 다시 중단될 위기를 겪었다. 

화물과 레미콘에 이어 철·콘업계도 파업을 예고하면서 앞으로 진행될 공사현장은 당분간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자경제신문 오아름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