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린푸드, 비건 간편식 신제품 베지라이프 론칭
아워홈, 본사 구내식당서 비건 메뉴 4종 출시
농심 포리스트 키친, 6월 한달간 방문객 1천명 돌파

[사진=현대그린푸드]

비건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유통가에서 관련 분야가 춘추 전국시대에 돌입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그린푸드는 비건식품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현대그린푸드는 자체 케어푸드 전문 브랜드 ‘그리팅’의 채식 간편식 신제품 ‘베지라이프’를 론칭한다고 4일 밝혔다.

지난해 12월부터 캐나다 비건 식품 브랜드의 국내 독점 판매에 나선 데 이어, 채식 식단과 대체육 등 자체 개발한 제품을 선보이기로 한 것이다.

비건을 겨냥한 식단형 식품으로, 함박스테이크·순두부강된장 해초밥·호두고추장 비빔밥 등 6종으로 출시된다.

통상적으로 음식에 사용되는 고기, 수산물 등 동물성 식재료를 모두 식물성 식재료로 대체했다. 예를 들어 함박스테이크를 콩을 사용한 대체육으로 만들었고, 강된장에 우렁 대신 순두부를 넣어 식감을 살렸다. 약고추장엔 소고기 대신 두부와 호두를 갈아넣어 만들었다.

현대그린푸드는 베지라이프 출시와 함께, 이달 중순부터 식자재를 공급중인 고객사를 대상으로 자체 개발한 B2B 대체육 식재료인 ‘베지 미트볼’과 ‘베지 함박스테이크’를 유통할 예정이다.

사측에 따르면 비트와 파프리카를 사용해 고기의 색감을 내고, 대체육의 단점으로 꼽히는 콩냄새를 최소화하면서 실제 고기를 씹는 것 같은 식감을 살렸다. 

현대그린푸드 관계자는 “국내 채식 인구는 지난 2018년 150만명에서 지난해 250만명으로 늘어났다. 여기에 완전 채식주의자인 비건뿐 아니라 유동적인 채식주의자를 뜻하는 ‘플렉시테리언(flexitarian, flexible과 vegetarian의 합성어)’이란 신조어가 등장할 정도로 채식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다”며 “이들을 겨냥해 비건 식품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현대그린푸드는 지난해 12월부터 캐나다 비건 식품 기업 ‘데이야(Daiya)’의 비건 치즈·아이스크림, 캐나다 식물성 음료 브랜드 ‘어스즈원(Earth’s Own)’의 귀리·아몬드로 만든 비건 우유 등 30여 종의 비건 식품을 국내에서 독점 판매 중이다.

아워홈은 구내식당에 식물성 대체육을 활용한 비건 식단 편성을 확대한다.

최근 아워홈은 본사 구내식당에서 식물성 대체육을 활용한 비건 메뉴 4종을 선보였다. 이는 지난 해부터 실시해온 친환경 그린캠페인 ‘가치 EAT GO’의 일환으로 육류 중심 소비를 줄이고 환경 보호 가치를 전달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진행됐다.

이번에 선보인 식단은 한식, 양식 메뉴와 테이크아웃 전용 제품인 ‘인더박스(IN THE BOX)’ 2종이다.

한식 메뉴인 ‘채식 부대찌개’는 식물성 대체육, 콩으로 만든 햄, 채식 만두, 팽이버섯, 두부 등을 듬뿍 넣었으며 비건 탕수소스로 맛을 낸 뿌리채소 탕수육을 곁들임 반찬으로 제공했다.

양식 ‘라따뚜이 비건 파스타’는 채수로 맛을 낸 비건 토마토소스와 오븐에 구운 채소를 곁들인 파스타로 달콤한 청포도 브루스케타(바게트에 과일 등 재료를 얹은 요리)를 함께 제공한다.

인더박스도 ‘후무스 샐러드’와 ‘비건 버거’ 등 비건 메뉴를 내놓았다. 후무스 샐러드는 병아리콩을 주재료로 만든 채식 요리다. 채소와 상큼한 소스를 함께 곁들여 풍부한 맛을 느낄 수 있다. 비건 버거는 식물성 대체육으로 만든 함박스테이크를 주재료로 활용했다. 고소하고 담백한 맛이 더해져 육류 고기 없이도 버거의 깊은 맛을 느낄 수 있다.

아워홈 관계자는 “본사 구내식당을 시작으로 전국 구내식당에 비건 메뉴와 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농심의 비건 레스토랑 ‘Forest Kitchen(포리스트 키친)’이 오픈 초반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지난 5월 27일 문을 연 Forest Kitchen은 6월 한 달간 방문객 1000명을 돌파했다.

농심 측에 따르면 포리스트 키친은 사전예약제로 운영하며 주말 예약률은 100%에 달한다. 국내 최초 파인 다이닝으로 품격있는 비건 메뉴를 제공한다는 콘셉트가 소비자의 관심을 끈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비건 레스토랑이지만, 비건이 아닌 소비자들도 많이 찾고 있다는 점이다.

예약 애플리케이션 캐치테이블 리뷰를 살펴보면 “비건이 아니지만, 고기 없이도 이렇게 맛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어서 행복했다”, “비건은 맛이 없다는 편견을 버렸다”, “비건이든 아니든 꼭 와봐야 하는 식당”이라며 비건 여부를 떠나 요리 자체의 완성도가 높은 레스토랑으로 평가하고 있다.

농심 측에 따르면 가장 반응이 좋은 메뉴는 코스의 첫 요리인 ‘작은 숲’이다. 레스토랑의 정체성을 잘 표현해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화이트 아스파라거스와 야생버섯, 코코넛 등 원재료 고유의 맛을 잘 살려낸 요리가 비건 레스토랑의 매력을 돋보이게 했으며, 대체육을 사용한 메뉴는 소스를 잘 활용하여 거부감 없이 맛있게 먹을 수 있었다는 반응이다.

농심은 오픈 초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전체 34석의 좌석 중 20석만 운영했다. 그간 요리와 서빙 등 운영 시스템이 자리잡았다고 보고, 이달 11일부터 전체 좌석을 오픈하고 본격적으로 정상 운영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Forest Kitchen은 농심이 선보인 비건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이다. 단일 코스요리로 다양한 비건 메뉴를 선보이고 있다. 이번 시즌에는 저녁 10개, 점심 7개 요리가 제공되며, 이 중 3가지 요리에 대체육을 사용하고 있다.

CJ프레시웨이가 운영하는 카페 브랜드 ‘모닝해즈’도 식자재 유통 업계 최초로 공식 지정 기관으로부터 비건 인증을 받은 샐러드를 선보이며 비건 시장의 문을 두드렸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아직 외국에 비해 비건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았지만 비건 인구가 증가하는 만큼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제품이 지속적으로 출시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소비자경제신문 심영범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