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최근 생명보험 손해보험사의 백내장 수술 실손보험 지급액이 급증함에 따라 금융당국 보험업계 등이 대책을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7일 손해보험협회 등에 따르면, 백내장 수술로 지급된 생손보사의 실손보험금 지급액은 1분기 중 457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손해보험 10개사의 백내장 수술 관련 하루평균 실손보험금 청구액도 지난해 40억 9000만원에서 지난 3월에는 110억원으로 급증한 상태다. 

협회 측은 최근 백내장수술과 관련해 지급된 보험금이 단기간 급증한 것은 일부 안과에서 백내장 증상이 없거나 수술이 불필요한 환자에게 단순 시력 교정 목적의 다초점렌즈 수술을 권유하는 등 과잉수술이 확산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하고 있다. 

아울러 보험업계는 일부 브로커 조직과 연계해 수술을 유도하거나 증상이 없는 환자에게 허위 청구를 권유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고 보고 있다. 

업계에서는 소위 ‘생내장 수술’이라는 용어가 있는데 이처럼 증상이 없는 고객들에게 실손보험 여부를 확인한 뒤 백내장이 있다고 진단, 다초점 인공 수정체 수술을 권유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일부 보험설계사가 백내장 수술 병원의 브로커로 개입해 리베이트 받거나 조직적인 브로커들이 개입돼 있는 것으로 전해지면서 금융사기의 취약성이 부각되기도 했다. 

이와 관련 최근 한 언론은 백내장 수술 보험금 수령 상위 14개 안과가 올해 1분기 동안 600억원을 받아갔으며 이는 전체 백내장 보험금 중 27.8%에 달하는 금액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병원에서 의도성 있는 수술하는 건 있어”

손해보험협회 관계자는 소비자경제와의 통화에서 “백내장 수술에는 단초점과 다초점렌즈 수술이 있다. 다초점렌즈 수술의 비용이 훨씬 고가다. 병원에서 수술에 대한 의도성을 갖고 하는 건들이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상적인 수술을 하시는 분들의 보험금은 당연히 지급해야 하지만, 현재 의심되는 일부 병원들의 압수수색이 진행되고 있으며 경찰이 수사하고 있다. 수사를 통해 밝혀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같은 보험사기를 방지하고자 금융당국은 백내장수술 관련 보험사기 제보자에 포상금을 지급하고 있다. 금감원과 보험협회 등이 공동으로 지난 4월부터 5월말까지 운영하기로 해던 포상금제도는 6월 말까지로 연장된다. 

또한 상담콜센터에는 상담 직원이 배치돼 백내장 수술 보상 상품인지를 비롯해 기타 실손보험금 청구 및 보험금 지급심사 절차 등에 관한 정보를 안내한다는 방침이다. 

소비자경제신문 박정민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