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가계부채의 질적 악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부채의 질이 악화된 20대는 ‘생계악화유형’과 코로나 팬데믹 이후 금리가 낮아지면서 빚을 내 투자했던 이들이 자산 가치는 하락하고 대출 금리는 올라가면서 이중고를 겪는 ‘투자실패유형’으로 나뉜다.
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말 기준 20대의 금융권 가계대출은 소폭 줄었지만 다중채무자들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금융당국이 대출 총량을 줄이기 위해 시중은행 등의 문턱을 높이는 등 규제를 시작한 영향으로 보인다. 규제 이후 20대의 은행권 대출이 해당 기간 동안 4192억원(0.6%) 줄어들었다.
20대 제2금융권 가계대출 잔액 26조 8316억
제1금융권의 문턱이 높아지면서 중저신용자들이 제2금융권으로 흘러들어간 것으로 파악됐다. 제2금융권의 20대 가계대출 잔액은 3개월 전보다 2729억원(1.0%) 늘어난 26조 8316억원으로 은행권과 달리 올해 들어서도 증가세를 이어갔다.
제2금융권에서는 전 연령대 가계대출이 증가(3조 3367억·0.4%)했고 특히 20대의 2금융권 대출은 같은 기간 30.9%(6조 3333억원) 급증했다.
다중채무자 수도 20대는 같은 기간 36만 9000명에서 37만 4000명으로 5000명 늘었다. 20대 다중채무자 대출 금액은 3월 말 기준 23조 2814억원으로 3개월 새 2289억원(1.0%) 증가했다.
반면 전 연령대 기준 다중채무자 수는 올해 들어 3월까지 5000명 줄었다. 대출금액도 3개월 새 2조 5927억원(0.4%) 줄었다.
다중채무자는 3개 이상 기관(대부업 포함)에서 돈을 빌린 사람으로 취약 차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특히 20대는 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아 더 각별한 관심이 요구된다.
제2금융권은 낮은 신용도로도 돈을 빌릴 수 있지만 금리가 높아 소득이 낮은 20대에게는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또 최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상승하면서 대출금리가 함께 상승해 금융 취약 20대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20대 다중채무 증가 원인은
20대가 다중채무 등의 빚을 지게된 원인은 생계악화형과 투자실패형으로 나눠진다. 사회에 나오기 전 이미 대학등록금 학자금 대출 등을 통해 빚을 지고 나온 상태에서 취업의 문까지 좁아지면서 대출 상환 어려움에 신용도 하락 등의 이중, 삼중고가 겹쳐 1금융권에서 대출받지 못하고 2금융권까지 손을 뻗은 이들이다.
또다른 유형은 코로나 팬데믹 초기 은행 금리가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저금리에 빚까지 내서 투자에 나섰다가 높아진 금리에 허덕이고 있는 이들이다. 이들은 이른바 ‘영끌족’(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받은 사람들)이라 불리며 부동산, 주식, 코인 시장 등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작년 하반기부터 거품이 꺼지고 금리가 서서히 오르기 시작하면서 이에 절망하는 20대들이 늘고 있다. 시중은행에서는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9일 기준 6.61%까지 오르는 등 금리 상승이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다. 신용대출 금리 상단도 5%를 넘어섰다.
미 연준도 최근 금리를 0.5%까지 한번에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했고 지난해 8월부터 꾸준이 올려 현재 1.5%까지 올라간 한국은행 기준 금리가 몇 차례 더 오른다는 전망이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햇살론 유스 대출건수 대위변제금도 폭등
대학생과 청년들이 낮은 이자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햇살론 유스는 대출 건수 뿐만아니라 대위변제금도 빠르게 치솟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서민금융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햇살론 유스 대출건수는 9만 1222건으로 시행 초기 였던 2020년 5만 7868건에서 1년 만에 57.6%가 폭등했다.
햇살론유스는 연소득 3500만원 이하의 만 34세 이하 청년이 최장 15년간 연 3.5% 금리로 1인당 최대 1200만원까지 빌릴 수 있는 서민금융진흥원 보증부 대출 상품이다.
진선미 의원은 “코로나19로 침체한 경기 회복도 전에 금리가 급격히 올라 20대 청년의 과도한 빚 부담이 우려된다”며 “청년들의 2금융권 대출과 다중채무를 관리할 수 있는 송곳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소비자경제신문 박정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