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구매 패턴 바뀌어

[사진=연합뉴스]

2020년 코로나19 사태 이후 국내 가구당 월평균 식품비가 증가했으나 외식비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21년 가구의 가공식품 소비 지출 변화와 특징’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가구당 월평균 식품비 지출액은 2019년 67만 9000원에서 2020년 70만 5700원, 지난해 73만 9100원으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식품비 지출액은 식료품과 음료, 주류, 식사비(외식비)를 합한 값으로 담배 구매비는 포함돼 있지 않다.

세부적으로 신선식품 구매비, 가공식품 구매비, 외식비 등 3가지로 구분해 지출 추이를 살펴보면 외식비는 2019년 33만 3600원에서 2020년 30만 9000원으로 줄었다.

지난해에는 32만 4500원으로 2020년보다는 많았지만, 2019년보다는 적었다.

식품비에서 외식비가 차지하는 비율도 2019년 49.1%에서 2020년과 지난해 각각 43.8%, 43.9%로 떨어졌다.

가구당 월평균 외식비 감소는 ‘사회적 거리두기’ 등 코로나19 방역 조치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식품비 중 가공식품과 신선식품 구매액은 지난 2년간 코로나19 사태 이전보다 늘었다.

가공식품 구매액은 2019년 18만 1400원에서 2020년 21만 3400원, 지난해 21만 8700원으로 증가했다.

신선식품 구매액도 2019년 15만 6000원에서 2020년 18만 3300원, 지난해 19만 5900원으로 늘었다.

소비자경제신문 심영범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