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중국투자 액티브ETF…과창판50 대비 초과성과 추구
중국 정부의 정책 수혜 및 구조적 성장 산업에 적극 투자
신한자산운용은 국내 최초로 중국 주식에 투자하는 액티브 ETF이자 신한자산운용의 첫 액티브 ETF인 ‘SOL차이나육성산업액티브(합성)ETF’를 13일 한국거래소에 상장한다고 12일 밝혔다.
신한자산운용은 첫 액티브 ETF의 비교지수로 상해거래소의 과창판(STAR50)지수를 선정했다. 이에 따라 과창판 구성종목을 포함하여 중국의 육성의지가 담긴 산업에 대해 액티브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비교지수 대비 초과수익을 추구할 계획이다.
중국의 주요 주가지수별 성과 차이는 경제 구조와 정책 변화에 따라 매년 바뀌고 있다. 특히 2018년 중국 정부의 제조2025 정책 이후 신경제 중심의 성장 모델로 변화가 시작된 이후로 주식시장에서도 육성산업의 뚜렷한 강세가 확인되고 있다.
중국의 중장기 정책의 기반이 되는 제 14차 5개년 규획(2021~2025)이 탄력을 받는 초기인 올해에는 보다 더 중국 정부의 정책 수혜 및 구조적 성장이 기대되는 테마에 대한 집중이 필요하다.
‘SOL차이나육성산업액티브(합성)ETF’는 이러한 중국 정부의 정책적 수혜를 받는 산업에 액티브 운용 방식으로 접근한다. 2022년은 중국 시진핑의 3연임이 결정되고 시작되는 해로서 시진핑 주석의 장기 집권이 공고해져 중국 투자에 있어서 중국 정부의 육성의지의 방향은 더욱 중요한 시점이다.
신한자산운용 김정현 ETF 운용센터장은 “중국 정부는 제조업의 고도화 및 공급망 업그레이드, 그리고 미국과의 패권 다툼 속에 재생 에너지 및 첨단 기술력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해 나갈 것이다. 따라서 중국의 육성산업에 대한 투자영역은 과창판을 포함하는 중국 전체를 바라봐야 한다”면서 “그렇기에 같은 날 상장하는 다른 과창판STAR50ETF들과 차별화된다”고 설명했다.
신한자산운용은 보다 전문화된 접근을 위해 신한금융투자와 협업한다. 신한금융투자의 글로벌 리서치 역량을 바탕으로 중국의 경기, 정책 분석에 기반한 육성산업 테마를 선정하고 중국 기업 전문 애널리스트의 전문적인 분석을 통해 운용할 계획이다.
김정현 센터장은 “중국은 여전히 제한적인 해외 투자 자본 접근과 중국 특유의 정치, 경제에 대한 분석의 어려움이 타 국가 대비 높아 액티브 투자의 효용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면서 “중국 투자는 여전히 어렵고 글로벌 증시와 궤를 달리하기도 하지만 SOL 차이나육성산업액티브(합성) ETF를 통해 중국 투자에 대한 해답을 찾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신한자산운용은 지난해 조직 확대와 더불어 ‘SOL’로 브랜드변경 후 SOL S&P500 ESG ETF·SOL탄소배출권 ETF·SOL차이나태양광CSI(합성)ETF 등 공격적인 상품출시를 비롯해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중국 투자 액티브 ETF의 출시로 고객들에게 보다 의미 있는 투자처를 제공할 전망이다.
소비자경제신문 김세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