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2045년 탄소중립 목표로 신형 수소차·아이오닉5 로보택시 첫선
독일 완성차 ‘전기차 라인업’선보이며 저마다 다른 친환경 해법 대공개
현대차를 비롯한 각국 완성차 업체들이 독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1’에서 미래 친환경모빌리티 시대의 청사진을 선보였다.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6일 IAA(Internationale Automobil-Ausstellung)모빌리티 2021 보도발표회에서 2045년 자동차 생산, 운행, 폐기 등 전 단계에 걸쳐 탄소 순배출 제로(0)를 달성을 목표하고 있다고 밝혔다. 순배출은 전체 배출량에서 제거, 흡수된 양을 차감한 실질적인 배출량으로 현대차는 클린 모빌리티와 차세대 이동 플랫, 그린 에너지를 축으로 한 ‘기후변화 통합 솔루션’을 통해 탄소중립을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는 2040년쯤 차량 운행, 공급망(협력사), 사업장(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2019년 대비 75% 줄이고 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CCUS) 등을 도입해 탄소중립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즉, 전체 탄소 배출량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차량 운행 단계에서의 배출 저감을 위해 제품과 사업 구조의 전동화 전환을 우선 달성하고 완성차 중 전동화 모델의 비중을 2030년까지 30%, 2040년까지 80%로 늘릴 계획이다.
실제 계획이 예정대로 진행될 경우 2035년에는 유럽시장, 2040년에는 국내에서 내연기관차가 단종된다.
현대차의 탄소중립 청사진을 함께할 차량은 아이오닉5를 기반으로 모셔널과 공동 개발한 로보택시다. 로보택시는 미국 자동차공학회(SAE) 기준 레벨 4의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돼 완전 무인 자율주행이 가능한 차량으로 2023년부터 차량 공유 업체인 리프트를 통해 본격적인 운용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외에도 현대차는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와 같은 친환경 차세대 모빌리티 플랫폼을 개발해 2028년 도심 운영을 위한 전동화 UAM을 내놓을 계획이다. 현대차는 해당 기술이 지속 가능한 교통망 구축과 온실가스 배출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신규 수소전기차도 현장에서 공개됐다. 현대차는 아이오닉6의 수소전기 콘셉트카인 프로페시(Prophecy)를 전시하는 한편 고급차 브랜드인 제네시스를 2030년까지 모든 모델을 수소·배터리 전기차로 전환하고 수소 전기차 레저용 차량(RV) 라인업을 현재 1종에서 3종으로 확대할 계획을 밝혔다.
현대차는 2023년 하반기 넥쏘 부분변경(페이스리프트) 모델과 다목적차량(MPV) 스타리아 기반 수소전기차 모델을 선보이고 2025년 이후에는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다. 또 장기적으로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비자동차 영역으로도 확대 보급해 수소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한편 모처럼 홈그라운드에서 전시회를 가진 독일 완성차 업체들도 친환경 모빌리티의 대한 해법과 시험모델을 공개했다.
메르세데스-벤츠의 모기업인 다임러의 올라 켈레니우스 최고경영자(CEO)는 6일 IAA 모빌리티 미디어데이에서 5종의 고급 전기차 라인업을 공개하며 친환경 모빌리티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밝혔다. 독일 언론은 벤츠가 IAA에서 5종의 모델을 한꺼번에 선보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그동안은 1종만 소개하는 게 일반적이었다고 설명했다.
메르세데스-벤츠가 가장 처음 중요하게 내세운 것은 전기 비즈니스 세단인 더 뉴 EQE다. 더 뉴 EQE 내연기관차와 차별점을 둔 활 형태를 띤 외관 디자인에 운전석을 앞으로 전진시켜 스포티함을 추구한 차량으로 2022년 출시가 예정되어 있다. 더 뉴 EQE의 최고출력은 215kW로 90kWh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시 최대 660km를 달릴 수 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이날 행사에서는 벤츠 G-클래스의 전설적인 럭셔리 오프로더 컨셉의 전기차인 EQG와 메르세데스-마이바흐의 첫 전기차인 메르세데스-마이바흐 EQS도 처음 선보였으며 벤츠의 고성능 브랜드인 AMG도 최초 럭셔리 전기 세단 AMG EQS와 첫번째 고성능 하이브리드 모델 GT를 공개했다.
BMW와 폭스바겐은 차량 소재 자체를 재활용하겠다는 발상을 내세웠다. BMW 올리버 칩세 CEO는 단순한 비전 제시가 아니라, 생각의 방식을 바꾸겠다면서 콘셉트카 BMW i비전 서큘라를 공개했다. BMW는 2025년까지 차량의 50%를 재활용 소재로 만들어 순환 경제가 가능하게 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폭스바겐도 재활용 소재로 제작된 첫 소형 세그먼트 콘셉트카인 ID라이프를 처음 공개했다. ID라이프는 2025년 출시될 예정으로 천연, 재활용 소재로 제작되며 카메라와 디스플레이가 내외부 미러를 모두 대체한다. 또 앞좌석과 뒷좌석 등받이를 모두 접을 수 있어 최대 1285ℓ의 적재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172kW의 전기모터와 57kWh의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시 400km를 주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폭스바겐은 자사가 연구중인 자율주행차 ID 버즈 ADI도 처음 선보였다. 독일 현지 언론들은 헤르베르트 디스 폭스바겐 CEO가 5일 아르고AI의 브라이언 세일스키 CEO를 초청해 로보택시(자율주행택시)에 관한 얘기를 나눴다고 전했다.
소비자경제신문 권찬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