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대기업에서 떡볶이 시장 진출하면 우리같은 소상공인은 뭐하라고? 아기들 사탕 뺏어먹는 것 아니에요?”(떡볶이 판매 상인)

대기업의 떡볶이 식품업계 진출이 본격화되면서 위기를 느낀 소상공인들이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소상공인협회는 27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쌀식품가공협회와 함께 ‘대기업 떡볶이 시장 진출, 괜찮은가?’를 주제로 긴급 좌담회를 개최했습니다. 좌담회에는 오동윤 동아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비롯한 각계 인사가 모인 가운데 동원, 종갓집, 아워홈, 신세계, 풀무원 등 대기업들이 자본력과 자체 유통망을 앞세워 시장을 장악해 영세업체들이 도태될 것을 우려했습니다. 

“다른 간편 식품, 적합업종의 실효성이라던가 소상공인 보호의 필요성, 생산 위기 관리 등 많은 부분에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기업의 진출을 통한 천편일률적인 상품으로는 (떡볶이가) 절대로 문화적인 상품으로 성장할 수 없다는 것이 저의 의견입니다.”(최정권 숭실대학교 중소기업대학원 교수)

“(대기업이) 우리가 더 잘할 수 있다 내놔라, 하는 것은 말도 안되는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떡볶이 시장이 형성되는 데 영세 소상공인들이 노력을 많이 해서 만들어온 것인데, 소상공인의 생계과 동반 성장을 무시한 법에도 위반되는 행위라고 생각합니다.”(황선옥 소비자시민모임 상임고문)

떡볶이 떡를 직접 제조하거나 조리해 판매하는 상인들도 대기업이 횡포를 부리고 있다면서 불만 섞인 목소리를 냈습니다. 상인들은 대기업을 견제할 수 있는 법의 보호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저는 (대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 시장에 들어오겠다는 말은 어불성설이라고 봅니다. (떡볶이로) 글로벌 경쟁력...누구하고 경쟁합니까? 결국 대기업이 한국 내 기업과 경쟁하는거에요. 해외 기업들은 떡볶이 안 만들어요. 공장이 없어요.”(구자홍 식품제조업체 뻐꾸기 대표이사)

동원과 아워홈 등 대기업들은 지난달 12일 동반성장위원회 간담회에서 떡볶이 떡 등을 직접 제조·유통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습니다. 떡볶이는 지난해 8월까지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기간이 만료되면서 대기업도 시장에 뛰어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소비자경제신문 권찬욱입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