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던 유통업계가 ‘대한민국 동행세일’로 활기를 되찾았다. 26일 동행세일 시작 후 롯데백화점은 매출이 21%, 아웃렛은 55% 증가하는 등 코로나 이후 매출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웃렛 매출 55% 증가 ‘최대’
2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26일 시작된 동행세일 기간에 맞춰 세일을 시작한 롯데백화점은 26∼27일 매출이 지난해 여름 세일기간 첫 이틀과 비교해 21% 증가했다.
롯데쇼핑의 교외형 아웃렛 6곳도 사람이 몰리면서 매출이 55% 급증했다.
코로나19 사태로 큰 타격을 받은 패션상품들도 ’코리안 패션 마켓‘ 등 행사에 힘입어 매출이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19로 타격이 컸던 여성패션 상품군 매출도 8% 증가했다.
여성패션 상품군 매출은 4월과 5월에는 각각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6%, 29% 감소하고 이달 들어서도 마이너스 매출을 기록하며 고전을 면치 못했다.
골프·아웃도어 상품군과 스포츠 상품군 매출도 각각 26%, 20% 증가하면서 전체 남성패션 상품군 매출도 역시 8% 늘었다.
이밖에 잡화 상품군은 6%, 생활가전 상품군은 12% 매출이 늘면서 여러 상품군에서 고르게 매출이 증가했다.
재고면세품 인기 높아 ‘긴 대기줄’
동행세일과 맞춰 판매를 시작한 오프라인 재고 면세품도 인기가 높았다. 25일 프리오픈일까지 포함해 27일까지 3일간 롯데백화점과 아웃렛 매장에서 53억원어치 재고면세품이 판매돼 전체 물량의 60%가 소진되며 목표치를 뛰어넘었다.
재고 면세품 판매로 명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재고 면세품이 아닌 기존 해외명품 판매도 93% 급증했다.
백화점 뿐 아니라 대형마트를 찾는 사람들도 많았다.
롯데마트는 동행세일을 시작한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매출이 지난주 같은 요일과 비교해 7.2% 증가했다. 과일(6.4%)과 채소(3.3%), 축산(13.6%) 상품 등 주로 신선식품 매출이 증가했다.
업계 관계자는 "제조업체들이 큰 폭으로 세일을 진행했고 백화점과 마트도 상품권과 금액 할인권을 주는 등 혜택을 늘리자 소비자들이 반응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7개 부처 장관, ‘라이브 커머스’ 출연
코로나로 인한 소비위축을 타개하기 위한 대규모 할인 행사인 ‘대한민국 동행세일’이 시작된 가운데 7개 부처 장관이 실시간 판매 방송(라이브 커머스)에 출연해 적극 홍보에 나선다.
박영선 중소기업부 장관은 27일 부산 벡스코에서 진행된 라이브 커머스에 출연해 브랜드K(중소기업 우수제품 공동브랜드) 제품인 두레촌 견과바를 홍보했다. 해당 제품은 완판됐다.
내달 1일부터 3일간 다른 부처의 장관들이 연이어 방송에 출연한다.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다음달 1일 다시마 등 수산물을 홍보하고, 이정옥 여성가족부 장관은 여성 기업의 제품을 소개한다. 다음달 2일에는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출연해 홍보에 나선다.
이어 다음달 3일에는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으뜸 효율 가전제품을 홍보한다.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도 나설 계획이다.
라이브 커머스 방송 일정은 동행세일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실시간 방송은 ‘가치삽시다’ TV 및 플랫폼, 네이버TV, 티몬, 11번가에서 볼 수 있다.
소비자경제신문 노정명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