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후 인천시 옹진군 대연평도에서 해병대원들이 경계작전을 수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이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후 인천시 옹진군 대연평도에서 해병대원들이 경계작전을 수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개성공단 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북한이 17일 금강산과 개성공단에 군부대를 투입하고 서해상 군사훈련을 재개하겠다고 밝혀 휴전선에 긴장감이 돌고 있다.

북한 인민군 총참모부 대변인은 17일 오전 “우리 군대는 당과 정부가 취하는 모든 대내외적 조치들을 군사적으로 철저히 담보할 것”이라면서 남한에 대한 군사적 압박을 강화할 것이라는 의지를 내비쳤다.

대변인은 “금강산관광지구와 개성공업지구에 방어임무를 수행할 연대급 부대들과 화력구분대들을 전개하게 될 것”이라면서 “9·19군사 합의에 따라 비무장지대에서 철수했던 민경 초소들에 다시 진출 전개해 경계근무를 강화할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서남해상전선을 비롯한 전 전선에 배치된 포병부대들의 전투직일근무를 증강하고 전선 경계 근무 급수를 1호 전투 근무 체계로 격상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선중앙통신은 문재인 대통령이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정원장을 김정은 국무위원장한테 특사로 보내겠다고 제안했으나 김여정 제1부부장이 “뻔뻔한 술수가 엿보이는 불순한 제의를 불허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우리는 대단히 불쾌하게 생각한다. 남조선 집권자가 위기극복용 특사파견놀음에 단단히 재미를 붙였는데 그것이 통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똑똑히 알아두어야 할 것이다”고 경고했다.

청와대와 정부는 공동연락사무소 폭파에 이어 군부대 투입이라는 강수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상황이다. 정부는 NSC상임위를 주재해 실시간 상황을 주시하고 있으며, 국방부도 최악의 상황에 대비에 군부대를 철저히 강화하는 등 긴박하게 움직이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의 약속을 뒤로 돌릴 수 없다’며 북한에 대화와 협력을 요청했지만, 군사적 행동을 강화하는 북한에 대해 어떤 카드로 대응해야 할지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상황에 미국 정부 반응은 조용하다. 국무부가 최근 “북한의 행보와 성명에 실망했다. 도발하지 말라”며 우려를 드러냈지만 개성공단 연락사무소 폭파 이후 트럼프 대통령 등의 반응은 없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사안에 대해 트윗으로 입장을 밝혀왔다는 점에서 어떤 반응이 나올지 주목됐지만 아직까지 특별한 언급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준형 국립외교원 원장은 “북한의 군사적 도발은 남측을 적대시해 군사충돌을 하려는 것보다는 대선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을 압박하고 코로나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내부 불만을 대외적으로 해결하려는 수단으로 보인다”면서 “정부는 이에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기 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원장은 “트럼프의 경우 대선을 앞두고 있고 코로나로 인한 경제부실, 인종차별문제까지 겹치면서 대내적으로 불리한 상황에 처해있다”면서 “섣부른 행동보다는 추후 상황을 지켜보며 대선에 유리한 방향으로 북한에 대해 설득에 나설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소비자경제신문 노정명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